‘엡스타인 수렁’에 빠진 트럼프, ‘외설 편지’ 보도 WSJ에 14조 소송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엡스타인 수사기록 미공개 논란속… WSJ “엡스타인에 나체 그림” 파장
트럼프 “난 그림 안그려… 명예훼손”
트럼프, 기사 막으려 머독에 전화도
결국엔 허사… 양측 관계 냉랭해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야망이 운명의 반전을 맞았다.”(블룸버그통신)

20일 재집권 후 취임 6개월을 맞는 트럼프 대통령이 ‘제프리 엡스타인 정치 스캔들’로 예상치 못한 위기를 맞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은 취임 직후 국내외 정치에서 거침없는 행보를 보여온 트럼프 대통령이 의외의 지점에서 처참한 실패를 보여주고 있다고 전했다. 외신들은 엡스타인 수사 기록을 공개하겠다고 공언한 트럼프 행정부가 이를 번복하자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을 실망케 했다며, 이를 제대로 극복하지 않으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지 기반을 상당 부분 잃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 엡스타인 수렁에 빠진 트럼프, 소송으로 반격

19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자신에 대한 기사를 보도한 월스트리트저널(WSJ)을 상대로 100억 달러(약 14조 원)의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다. WSJ 발행사인 다우존스를 비롯해 모회사 뉴스코프, 뉴스코프 명예회장으로 ‘미디어 재벌’로 불리는 루퍼트 머독, 최고경영자(CEO) 로버트 톰슨, 기사를 작성한 WSJ 기자 두 명이 피고에 포함됐다.

앞서 WSJ는 2019년 미성년자 성매매 혐의로 기소돼 맨해튼 연방교도소에서 수감 중 사망한 금융 부호 제프리 엡스타인에게 트럼프 대통령이 외설스러운 편지를 보냈다고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엡스타인의 50번째 생일이던 2003년 여성의 나체를 손수 그린 뒤 자신의 서명을 남긴 편지를 보냈다.

마가 진영에서 엡스타인 사건은 그림자 권력집단이라는 소위 ‘딥 스테이트’의 존재를 밝힐 수 있는 핵심 사건으로 여겨졌다. 생전 수많은 파티 등에서 미국의 주요 권력자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었고, 성매매 알선 등을 일삼은 것으로 알려진 엡스타인의 ‘고객 명단’이 공개되면 그 실체를 규명할 수 있다고 본 것. 하지만 최근 트럼프 행정부는 고객 명단은 없다며 엡스타인 수사 기록을 공개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마가 진영에선 큰 반발이 일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엡스타인에게 보냈다는 편지가 있었다고 보도되자 파장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트럼프가 8년 전 자선행사에 기부한 그림 2017년 7월 25일 촬영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그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이 그림은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그려 자선행사에 기부한 것으로, 경매시장에도 출품됐다. 사진 출처 NATE D SANDERS AUCTIONS
트럼프가 8년 전 자선행사에 기부한 그림 2017년 7월 25일 촬영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그림.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이 그림은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그려 자선행사에 기부한 것으로, 경매시장에도 출품됐다. 사진 출처 NATE D SANDERS AUCTIONS
트럼프 대통령은 “WSJ가 가짜 뉴스로 나의 명예를 훼손하고 재정과 평판 측면에서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며 “나는 그림 같은 걸 그리지 않는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날 뉴욕타임스(NYT) 등은 “트럼프 대통령이 뉴욕 부동산 사업가로 일하던 시절 다수의 그림을 그렸고 이들 중 여러 점이 집권 1기 때 경매에서 수천 달러에 팔렸다”고 전했다.

● WSJ-폭스뉴스 사주 머독과 관계 냉각

외신들은 이번 소송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머독과 냉랭한 관계에 놓이게 된 점도 주목하고 있다. 머독은 미국의 대표 보수 매체로 유명한 폭스뉴스, WSJ, 뉴욕포스트를 모두 보유하고 있다. 머독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개인적 호감이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가 보유한 매체와 트럼프 대통령은 원만한 관계를 이어왔다. 특히 폭스뉴스는 자타가 공인하는 ‘친트럼프 성향 매체’다. 실제로 폭스뉴스는 트럼프 대통령 재집권 뒤 인터뷰를 수차례 진행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차남 에릭의 부인 라라는 폭스뉴스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WSJ 보도에 앞서 여러 차례 머독에게 전화를 걸어 기사 게재를 막으려고 했으나 수포로 돌아갔다. 머독과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뉴저지주에서 열린 클럽월드컵 결승전 VIP 박스에서 함께 경기를 관람하기도 했다. 기사 무마 시도를 거부한 건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머독의 전 측근은 “머독은 103세에 별세한 모친보다 더 오래 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트럼프는 지나갈 사람이라 여긴다”고 했다.

또 WSJ 안팎에서는 그간 머독이 선정적이고 비윤리적인 보도를 용인해 지탄을 받았지만 특종을 막는 사람이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고 FT는 전했다. 이 매체는 머독이 트럼프 대통령과 합의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우존스 대변인도 “우리는 보도의 엄격성과 정확성에 전적인 확신을 갖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소송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뜻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정치 스캔들#제프리 엡스타인#루퍼트 머독#마가 진영#딥 스테이트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