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화상 통화를 하며 파트너십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29일(현지 시간) 머스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나는 삼성 회장 및 고위 경영진과 화상 통화를 통해 실제 파트너십이 어떤 모습일지 논의했다”며 “양사의 강점을 활용해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앞서 한 엑스 이용자는 머스크가 올린 ‘삼성은 테슬라가 제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로 합의했다’는 글을 공유하며 “삼성은 그들이 어디에 사인했는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삼성전자가 테슬라의 향후 반도체 생산 계획을 모르는 상태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에 머스크는 “그들은 안다”고 해명하는 과정에서 이 회장과의 화상 통화를 언급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엑스(X·옛 트위터)에서 한 이용자가 “삼성은 그들이 어디에 사인했는지 모른다”고 지적하자, “그들은 안다”고 해명하는 과정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의 화상 통화를 언급했다. 엑스 캡처삼성전자는 최근 테슬라와 22조7648억 원(약 165억4400만 달러) 규모의 반도체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머스크는 지난 27일 엑스를 통해 “165억 달러는 단지 최소액”이라며 “실제 생산량은 몇 배 더 높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에 투자액 370억 달러(약 51조5000억 원) 규모의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
머스크는 “삼성의 대형 텍사스 반도체 공장은 테슬라의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인 ‘AI6’ 칩 제조에 전념할 예정”이라며 “(이번 발주의) 전략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직접 현장을 방문해 진행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AI6 반도체는 향후 테슬라의 차세대 자율주행차량과 휴머노이드 로봇 등에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023년 5월 10일 미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삼성전자 북미 반도체연구소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처음으로 만나 완전자율주행(FSD) 반도체 공동 개발 등을 논의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칸 부디라지 테슬라 부사장, 앤드류 바글리노 테슬라 CTO,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 사장,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장 사장, 한진만 삼성전자 DSA 부사장. (삼성전자) ⓒ뉴시스머스크는 이날 또 다른 엑스 이용자가 “삼성전자는 칩 제조 기술에서 (대만의) TSMC보다 뒤처져 있다”고 올린 글에는 “TSMC와 삼성 둘 다 훌륭한 회사다. 그들과 함께 일하는 것은 영광”이라며 삼성전자를 옹호하는 답글을 남겼다.
이재용 회장은 미국과의 상호관세 막판 협상에 힘을 보태기 위해 이날 미국 워싱턴DC 인근 덜레스국제공항으로 입국했다. 이 회장이 대미 반도체 투자 확대 및 AI 반도체 기술 협력 등을 한국 정부의 협상 카드로 제안할 가능성도 나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