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1500m 질주에도 숨도 안 헐떡여…中, 세계 최초 로봇 올림픽 개최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15일 17시 23분


코멘트
15일 열린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에서 링이테크놀로지의 로봇이 조종수와 함께 달리고 있다. 이 로봇은 1500m를 6분34초에 달려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15일 열린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에서 링이테크놀로지의 로봇이 조종수와 함께 달리고 있다. 이 로봇은 1500m를 6분34초에 달려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위수(宇樹·유니트리) 찌아요(화이팅), 위수 찌아요.”
15일 베이징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참가 선수들은 출발 신호와 함께 육상 트랙을 힘차게 내달리기 시작했다. 또 관중석에선 힘찬 응원의 함성도 터져 나왔다.

1500m를 전력 질주하는데도 거친 숨소리를 전혀 내지 않은 선수들의 정체는 휴머노이드 로봇이었다. 이 종목 금메달은 6분 34초 만에 결승선을 통과한 중국의 유명 로봇 기업 유니트리의 자회사 ‘링이(灵翌)테크놀로지’가 만든 로봇이 차지했다. 올해 초 춘절(중국설) 갈라쇼에서 군무를 선보였던 ‘G1’와 같은 모델이었다.

15일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에의 5대5 축구 종목 참가자가 경기에 앞서 로봇을 점검하고 있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mf@donga.com
15일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에의 5대5 축구 종목 참가자가 경기에 앞서 로봇을 점검하고 있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mf@donga.com


● 성인 남성이 따라잡기 힘든 육상 실력 뽐내

14일 저녁 개막식을 연 ‘2025년 세계휴머노이드 로봇대회’는 이날부터 본격적인 경기에 돌입했다. 17일까지 사흘 동안 16개국에서 온 280개 팀의 휴머노이드 로봇 500여대가 출전한다. 경기 종목은 100m 달리기, 1500m 달리기, 400m 계주, 축구, 격투기를 포함해 총 26개.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올림픽처럼 다양한 종목의 경기에 참여하는 행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로봇 업계에선 이번 행사를 두고 ‘로봇 올림픽’이라가도 부른다.

15일 열린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에서 격투기 경기 출전을 기다리고 있는 유니트리사의 로봇 ‘G1’.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15일 열린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에서 격투기 경기 출전을 기다리고 있는 유니트리사의 로봇 ‘G1’.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15일 관중들의 관심이 집중됐던 경기는 1500m 달리기였다. 경기는 로봇 4대가 한 조를 이뤄 400m 트랙을 총 4바퀴 조금 못 미치게 도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인간의 육상 경기 규칙과 유사했다. 1~3위를 차지한 로봇들은 일반 성인 기준으로도 빠른 속도인 시속 12~13㎞로 달렸다. 일부 로봇은 레이스 도중 멈춰서거나 넘어져 부서지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참가 로봇은 큰 무리 없이 완주했다.

15일 대회 1일차 1500m 종목에 출전한 로봇들은 지난 4월 마라톤 대회에 비해 더 안정적인 자세와 빨리진 속도를 선보였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15일 대회 1일차 1500m 종목에 출전한 로봇들은 지난 4월 마라톤 대회에 비해 더 안정적인 자세와 빨리진 속도를 선보였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지난 4월 베이징에서 열린 하프마라톤 대회에서 제한 시간 내 완주한 로봇이 2대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전체적으로 출전 로봇들의 달리는 동작이 더 자연스러웠고, 속도도 더 빨라졌다는 평가가 많았다. 우승팀인 링이테크놀로지의 류진다(劉金達) 연구원은 “다양한 반복 실험을 통해 달리는 동안 내부 온도 변화를 확인하고, 일정한 속도를 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연구해온 보람이 있다”고 말했다.

●실수 연발에도 질책 아닌 축제로 승화
14일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 개막식 전 진행된 5대5 로봇 축구 연습 경기. 로봇은 완전 자율 제어 상태로 경기를 진행하지만, 넘어져 일아나지 못할 경우 심판이나 팀 관계자가 끌어내 선수를 교체한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14일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 개막식 전 진행된 5대5 로봇 축구 연습 경기. 로봇은 완전 자율 제어 상태로 경기를 진행하지만, 넘어져 일아나지 못할 경우 심판이나 팀 관계자가 끌어내 선수를 교체한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다만 진짜 인간의 경기를 따라가기에는 아직 한계도 명확했다. 은메달을 딴 톈지아오(天驕)팀의 ‘톈궁(天工)’을 제외하면 육상 경기 출전 로봇들은 모두 컨트롤러를 든 인간 조종수와 함께 뛰었다. 현재 기술 수준에서도 혼자 달리기가 가능하지만 수동 제어를 했을 때 빠른 방향 전환 등이 가능하다는 게 참가팀들의 설명이다.

육상과 달리 축구 경기에서는 로봇들의 실수가 속출했다. 축구는 육상과 격투기 등 다른 종목과 달리 경기 도중 로봇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도록 하는 게 대회 규정이다. 로봇들은 마치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처럼 공을 항해 몰려다녔고, 로봇들끼리 엉켜 넘어지는 일도 잦았다.

전날인 14일 저녁 펼쳐진 개막식은 중국의 로봇굴기를 전 세계에 알리는 ‘쇼케이스’ 현장이었다. 로봇 록밴드의 연주에 맞춰 로봇들의 군무가 펼쳐졌고, 로봇과 인간이 함께 등장하는 패션쇼 무대가 이어졌다. 축하 공연이 끝나자 인간의 올림픽 처럼 로봇 선수단이 차례로 입장했다. 베이징휴머노이드로봇혁신센터의 ‘톈궁 2.0 프로’는 선수들을 대표해 공정 경쟁을 위한 선서를 낭독했다.

14일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 개막식에서 로봇과 참가팀 관계자들이 대회 주제가에 맞춰 깃발과 손을 흔들고 있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14일 세계휴머노이드로봇대회 개막식에서 로봇과 참가팀 관계자들이 대회 주제가에 맞춰 깃발과 손을 흔들고 있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

개막식 행사 중 쓰러지는 로봇들이 나왔지만, 축제 분위기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대회 사회자는 “로봇들이 넘어질 수 있는데, 그때마다 관중들이 박수로 일으켜세워달라”고 수차례 당부했다. 이날 초등학생인 아들와 함께 개막식을 찾은 중국인 남성은 “올 5월 로봇 격투기 중계 방송을 본 뒤로 아이가 로봇에 관심이 무척 커졌다”고 말했다.

#휴머노이드 로봇#베이징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