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년 전 졸속 미군 철수로 탈레반 정부에 내줬던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기지를 되찾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중국 국경과 가까운 바그람을 탈환해 중국을 견제하고, 인근에 있는 아프가니스탄의 희토류 및 광산도 개발하려는 의도라고 미국 언론들은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 시간) 국빈 방문한 영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우리는 그것(바그람 기지)을 (탈레반에게) 아무 대가 없이 넘겨줬다”며 “그런데 우리는 그것을 되찾으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바그람) 기지를 원하는 이유 중 하나는 중국이 핵무기를 만드는 곳에서 1시간 떨어진 곳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올 3월에도 “우리는 (아프가니스탄에 미군을) 철수할 예정이었지만, 바그람은 그대로 두려고 했다”며 “바그람은 중국이 핵미사일을 만드는 곳에서 정확히 1시간 거리이기 때문”이라고 말한 바 있다.
바그람 기지는 미국이 9·11 테러를 계기로 주범 및 공범인 국제테러단체 알카에다와 근본주의 무장 정파 탈레반을 겨냥해 2001년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 후 20년간 아프간 내 미군 군사력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미군이 2021년 갑자기 철수했고 곧이어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정부군을 무너뜨리고 집권한 상태다.
미 CNN 방송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수개월간 탈레반으로부터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공군기지를 되찾을 방법을 찾아왔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고위 국가안보 당국자들은 중국 국경에서 약 805㎞도 떨어지지 않은 지점에서 중국을 감시하고 아프가니스탄의 희토류 및 광산 개발에 접근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또 극단주의 테러단체 이슬람국가를 겨냥한 대테러 거점 구축하기 위해서도 바그람 기지를 탈환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미 언론들은 실제 미국이 바그람을 탈환할 가능성을 낮게 봤다. 로이터통신은 “바그람 재점령은 사실상 아프간 재침공처럼 보일 수 있다”고 현직과 전직 관리들의 말을 전하며 현실적 어려움을 짚었다. 트럼프 정부 관계자도 “기지를 확보하려면 병력 1만 명 이상과 첨단 방공망이 필요하다. 보급과 유지까지 고려하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로이터통신에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