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에서 미국 이민 당국의 단속으로 체포됐다 석방된 현대차-LG엔솔 한국인 근로자 300여 명이 탑승한 전세기가 이륙하고 있다. 2025.09.12 [애틀랜타(미국)=AP/뉴시스]
미국 이민 당국의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HL-GA) 건설 현장 단속으로 구금됐던 근로자들이 11일(현지 시간) 오전 1시 20분경 풀려났다. 4일 미 조지아주 포크스턴의 이민세관단속국(ICE) 구금시설에 갇힌 지 일주일 만이다.
이번에 석방된 근로자는 한국인 317명, 중국인 10명, 일본인 3명, 인도네시아인 1명이다. 이 중 가족이 영주권자인 한국인 한 명은 미국에 남기로 했고, 나머지 330명은 이날 애틀랜타 국제공항으로 이동해 한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들은 12일 오후(한국 시간)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이번에 구금됐던 근로자들은 향후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을 받지 않기로 한미 당국이 합의했다. 이날 오전 미 워싱턴 백악관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만난 조현 외교부 장관은 “귀국 한국인들이 미국에 재입국할 때 불이익이 없다는 확약을 받았다”고 밝혔다. 조 장관은 “앤드루 베이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과도 만나 루비오 장관과의 합의 사항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이 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한국대사관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부 장관과 만나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조기 석방을 위해 논의한 내용에 대해 한국 취재진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2025.9.11 (워싱턴=뉴스1)조 장관은 또 이날 워싱턴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진행된 언론 간담회에서 “미 국무부와 우리 외교부 간 워킹그룹을 만들어 우리 기업의 대미(對美) 투자에 맞춰 새로운 형태의 비자를 만드는 것을 신속하게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양국이 비자 제도 개선을 위한 워킹그룹을 구성해 이번 사태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추후 (우리 국민의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도록 하겠다고 약속한 미국 측 최고위 주체가 루비오 장관”이라며 “그 약속이 지켜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한편 구금됐던 근로자들이 당초 일정보다 하루 늦게 출국한 건 석방 후 공항 이송 과정에서 미국 측의 결박 방침을 둘러싼 이견이 아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잔류 요청 때문이었다고 외교부 당국자가 10일 밝혔다. 한국인 근로자들이 미국에 남아 계속 미국인 직원들을 교육·훈련시키는 방안을 제안했다는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