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KAIST 정서윤 박사과정, 신동관 박사, 공정렬 박사, 조광현 교수. (KAIST 제공)/뉴스1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분자 스위치’를 찾았다. 향후 항암제 신약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일 KAIST는 조광현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이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순간을 포착해 이를 분석한 결과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분자 스위치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지난달 22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암 발생 과정에서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뀌기 직전 정상세포와 암세포가 공존하는 불안정한 상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후 수학적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전자 단위에서 암세포를 다시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분자 스위치를 발굴했다.
연구팀은 실제 이 스위치가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장암 세포에서 분자 스위치를 조절한 결과 정상세포로 돌아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를 주도한 조 교수는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변화의 순간에 숨어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암 가역치료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모든 항암치료제는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방식이지만 재발 가능성과 부작용이 있다는 한계가 있다.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암 가역치료 방식은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치료법이다.
최지원 기자 jwchoi@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