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지주막하 출혈은 치사율이 무려 50%에 이를 정도로 매우 위험하다. 뇌출혈은 증상이 발생한 뒤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이뤄져야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신체적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센텀종합병원에 따르면 여성 A 씨(68세)는 의식 저하로 응급실에 이송됐다. 의료진이 뇌 CT 검사를 시행한 결과 뇌 지주막하 출혈로 확인됐다.
추가 실시한 CT 혈관조영술에서는 우측 경동맥의 뇌동맥류 파열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뇌 지주막하 출혈은 혈관벽이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있다가 터지는 현상으로, 급성 뇌출혈을 유발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A 씨는 파열된 동맥류에서 재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였는데 재출혈된다면 뇌에 손상을 주어 사망 가능성이 높아진다.
의료진은 A 씨에 대해 응급 코일 색전술을 시행했다. 코일 색전술은 개두술(머리를 직접 절개하는 수술) 없이 혈관 내 접근을 통해 뇌동맥류를 치료하는 비침습적 수술법이다. 다리 대퇴부나 팔의 혈관을 통해 미세한 도관(카테터)을 삽입한 뒤 이를 뇌혈관에 위치시키고 동맥류 내부에 특수 금속 코일을 채우는 것이다.
이 수술법은 혈류 흐름을 차단해 추가 출혈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미세 침습 수술이라 회복 속도가 빠르고,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색전술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술 전 의식이 혼미 수준이었던 A 씨는 수술 뒤 기면 상태로 호전돼 입원 3주일 만에 걸어서 퇴원했다.
이동혁 센텀종합병원 신경외과 과장은 “뇌 지주막하 출혈은 혈관이 약해지면서 꽈리처럼 부풀어진 동맥류가 파열되며 뇌출혈을 일으킨다”며 “극심한 두통이나 의식 저하 및 혼미, 구토 및 어지러움, 시야 장애, 편측 마비 및 감각 이상 등의 증상들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