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영 순천향대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팀(석진우·이보영)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데이터를 이용해 상대습도와 폐 기능, 호흡기 증상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13일 밝혔다.
연구진은 40세 이상 성인 1만396명의 폐기능 검사 자료와 건강 설문지를 통해 호흡기 증상을 평가했다. 또 상대 습도, 기온, 미세먼지 등의 환경 데이터를 ‘커뮤니티 다중 규모 대기 질 모델(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을 활용해 참가자의 거주지와 연계했다. CMAQ는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지역 규모에서 반구 규모까지의 대기 오염을 연구하기 위해 개발했다.
1년 이상 장기적으로 높은 습도에 노출된 경우 노력성 폐활량(숨을 최대한 깊게 들이마셨다가 힘껏 내쉬게 해서 공기의 양을 측정하는 검사)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14일 미만의 단기적인 높은 습도는 폐 기능의 일부 지표(1초 강제호기량/노력성 폐활량 비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습도가 장기적으로 폐 조직을 보호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폐 기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 결과 습도가 호흡기 증상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기(90~180일)의 습도가 높은 경우 만성 기침과 가래 증상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적절한 습도 유지가 기관지 점막을 보호하고,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결론이다.
윤희영 교수는 “대기 습도는 호흡기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질병과 증상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며 “적절한 습도 유지가 폐 기능과 호흡기 증상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어 겨울철 가습기를 활용해 습도를 유지하고, 여름철 제습기를 사용하거나 환기를 자주 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