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IT/의학
KAIST, 악성 뇌종양 교모세포종 발병 원인 ‘전암세포’ 첫 규명
뉴스1
업데이트
2025-04-21 13:27
2025년 4월 21일 13시 27분
입력
2025-04-21 13:26
2025년 4월 21일 13시 26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교모세포종 발별과 치료 저항성의 원인이 되는 전암세포 규명 연구 개념도. (KAIST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뉴스1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정호 교수 연구팀이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의 발병과 치료 저항성의 원인이 되는 ‘전암 세포’를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악성 뇌종양으로 광범위한 뇌 절제술을 포함한 표준 치료 후에도 1년 이내 재발률이 매우 높은 질환이다.
교모세포종에선 암세포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각각이 치료에 다르게 반응하는 ‘종양 내 이질성’이 치료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힌다.
연구팀은 종양 내 이질성의 뿌리가 전암 세포에 있다는 점을 밝혀냈으며, 이 세포들이 종양의 진화와 재발을 유도하는 핵심이라는 사실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체성돌연변이를 유도한 자연발생 교모세포종 동물 실험을 통해 종양 발생 전 전암 세포를 단일세포 수준에서 추적했다.
실험 결과 전암 세포는 희소돌기아교세포 계통에서 유래하며 다양한 종양 유발 전사 프로그램을 획득해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암세포로 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교모세포종 환자의 뇌실하 영역에서도 유사한 전암 세포가 발견돼 종양의 기원과 종양 내 이질성 형성에 기여한다는 점도 확인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전암 세포는 종양을 더욱 복잡하고 공격적인 형태로 진화시키는 암 이질성의 씨앗과 같은 존재”라며 “전암 세포를 이해하고 표적화하는 것이 교모세포종을 근본적으로 극복할 열쇠”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암 분야 권위지인 ‘캔서 디스커버리’에 게재됐다.
(대전·충남=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리모델링 단지, 규제 빈틈 타 ‘한강변 키높이 전쟁’
美 “중요한 건 관세합의 시점 아닌 질” 양보 압박
李대통령 대북송금 재판도 중단… 5건 모두 연기
창 닫기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