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줌 시술 25분 걸려… 10년 넘어도 재발 없이 유지”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6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박수환 나인비뇨의학과 원장에게 물어보는 전립선비대증

전립선 명의 박수환 나인비뇨의학과 원장은 20여 년간 5000회 이상의 전립선 관련 수술과 치료를 해왔으며 현재는 리줌 시술에 집중하고 있다. 나인비뇨의학과 제공
전립선 명의 박수환 나인비뇨의학과 원장은 20여 년간 5000회 이상의 전립선 관련 수술과 치료를 해왔으며 현재는 리줌 시술에 집중하고 있다. 나인비뇨의학과 제공
―전립선비대증이란?

“정상적인 남성의 전립선은 15∼20g 정도로 호두알 크기다. 나이가 들면서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차차 커지게 돼 60대 초중반이면 35∼40g 정도가 된다. 골프공 또는 작은 귤 크기 정도가 된다. 전립선이 커지면서 감싸고 있는 요도를 압박하게 되는데 이것 때문에 소변이 지나가는 길이 좁아지게 된다. 고속도로 공사를 위해 일부 차선을 막으면 차량 정체가 일어나듯이 소변이 지나가는 길이 좁아지면 소변 배출에 정체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전립선 비대와 기능적인 배뇨 장애가 복합되는데 이것이 전립선비대증이다. 보통 전립선비대증은 40대부터 서서히 진행되고 50대에 불편함이 느껴지기 시작한다. 60대에는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이 매우 많아지고 늦는 경우 70∼80대에 시작되기도 한다. 예전에는 평균수명이 60대에 머물러 배뇨에 약간 불편함을 느끼다가 돌아가시니 큰 문제로 주목받진 않았다. 지금은 평균수명이 늘어나다 보니 어르신의 약 90%가 전립선 문제로 불편함을 느끼거나 치료를 받게 된다.”

―전립선비대증의 계절적 연관성은?

“기온이 떨어지는 겨울이 되면 몸이 수축하고 긴장도가 높아진다. 방광도 수축하고 땀도 덜 나니 소변량이 많아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증상이 심화할 수 있다. 여름에는 약을 잘 안 챙겨 먹고 병원도 잘 안 다니던 환자들도 겨울에는 전립선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된다. 하지만 요즘은 생활 방식 변화로 인해 계절 요인은 많이 줄고 있다.”

―리줌 시술이란?

“내시경을 이용해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 내로 고온·고압의 수증기를 발사해 영구히 조직을 제거함으로써 요도를 넓혀 요도 폐색(막힘)을 치료하는 최소 침습적 수술이다. 늘어난 전립선 조직에 들어가서 103도의 수증기를 쏴주면 ‘화상’을 입으면서 전립선 조직이 파괴되는 원리다. 내시경을 통해 접근하는데 내시경에서 작은 바늘이 나와 요도 주변 조직으로 들어가고 바늘 끝의 미세한 구멍에서 수증기가 나온다. 매우 고압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구석구석 들어가게 돼 전립선이 전반적으로 수축된다. 요도를 압박하던 전립선이 줄어드니 요도가 이전보다 넓어지게 된다.”

―뜨거운 수증기를 쏘는 것이 신체에 무리가 가지는 않는가?

“작은 바늘 끝에서 미세하게 수증기를 쏘기 때문에 전립선 조직 내에만 영향을 줄 정도로 범위가 매우 좁다. 주변에 있는 직장이나 신경까지는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한 번 찌르면 9초 정도 수증기가 발사되고 이런 과정을 4∼6회 반복하기 때문에 따끔한 느낌과 약간 뜨거운 느낌을 받을 수 있지만 불편함이 지속되지는 않는다. 전립선을 싸고 있는 피막이나 내부의 요도 점막에는 신경이 있지만 전립선 자체에는 통증을 느끼는 신경이 없기 때문이다. 시술 시간도 보통 10분 이내로 매우 짧아 역시 신체에 큰 영향은 없다.”

―시술과 회복에 필요한 시간은 얼마나 걸리나?

“기존 전립선 수술의 경우 한 시간 이상이 걸리고 척추마취나 전신마취가 필요하며 3∼4일 정도 입원을 해야 한다. 이에 비해 리줌은 시술 준비는 20분 정도, 시술은 부분마취로 5분이면 충분하다. 간혹 예민한 환자들은 주로 치과에서 쓰는 ‘웃음 가스’로 불리는 아산화질소를 이용해 살짝 진정시키기도 한다.”

―반영구적인 시술인가?

“현재까지 10년 이상 시술 후 추적 관찰한 결과가 있는데 재발 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다른 시술처럼 몸 안에 이물질이 남는 게 아니고 전립선 조직 자체를 없애는 방법이기 때문에 효과가 반영구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시술과 비교했을 때의 특장점은 무엇이 있는가?

“수증기를 이용한 내시경적 전립선 절제술(리줌) 외에 약물치료나 결찰술, 내시경 수술도 있다. 하지만 기존 내시경 수술의 경우 레이저를 이용해 조직을 태우거나 전기로 소작하는 방식이라 출혈 및 부작용의 가능성이 높고 회복 기간이 길다. 내시경 수술 방법은 수박 속을 떠내듯이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을 파내는 방법으로 수술 시간도 길고 회복도 오래 걸린다. 수술 후 요실금이나 발기부전 같은 부작용이 있고 특히 대다수 환자에게 사정 장애가 생긴다. 물론 내시경이나 수술 기구의 발전으로 과거에 비해 부작용은 감소했다.”

―약물치료를 선택하는 환자와의 차이는 무엇인가?

“전립선비대증을 외과적 수술로 치료하는 이는 전체 환자의 3% 내외다. 나머지 60% 환자가 약물치료를, 37%는 별다른 대처 없이 관찰만 한다. 수술로 치료하는 비율이 30%를 넘어가는 미국과 비교하면 큰 차이가 있다. 서구에서는 꾸준히 약을 먹고 관리하는 것보다는 좀 더 적극적인 치료를 요구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전립선 약물은 혈압약, 당뇨 약처럼 평생 복용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전립선이 계속 자라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 끊을 수 있는 약이 아니다.”

#헬스동아#건강#의학#전립선비대증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