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할 수 있는 대변 면역화학 검사(FIT)가 번거로운 대장 내시경만큼 대장암 조기 발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가공 식품과 패스트푸드를 점점 더 많이 즐기고 식이섬유 섭취량은 줄면서 50세 미만 젊은 층의 대장암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매우 주목되는 연구 결과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 클리닉 병원(Hospital Clínic de Barcelona)의 안토니 카스텔스 박사와 카나리아 제도 대학병원(University Hospital of the Canary Islands)의 엔리케 퀸테로 박사가 주도한 ‘COLONPREV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했다. 이들은 스페인 8개 지역의 15개 3차 병원과 협력하여, 참가자의 절반은 한 번의 대장 내시경을 받도록 하고, 나머지 절반은 2년마다 FIT 키트를 사용하도록 무작위로 배정했다. 10년 동안 세밀한 추적 관찰을 통해 연구진은 모든 대장암 진단 사례와 관련 사망 사례를 기록했다.
대상자 5만 7404명은 연구 시작 당시 건강 상태가 양호한 50세에서 69세 사이의 성인으로, 대장암, 선종, 염증성 장질환의 개인 병력이 없고, 유전성 또는 가족성 대장암 병력(대장암을 가진 1촌 직계 가족이 2명 이상 있거나, 60세 이전에 진단된 가족이 1명 있는 경우), 심각한 동반질환, 또는 이전 대장절제술 병력이 없는 사람들로 구성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대장 내시경 VS. 대변 검사 결과…뚜렷한 우열 없어
10년 동안 대장내시경 그룹에서 55건, FIT 그룹에서 60건의 대장암 사망자가 발생했다. 비율로 따지면 0.22% 대 0.24%로 그 차이는 0.02%P에 불과했다. 이는 연구가 설정한 비열등성 기준(대변 검사가 대장 내시경보다 크게 뒤떨어지지 않는다(비열등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기준)인 0.16%를 충족했다.
이는 두 가지 검진 방법이 환자를 동등하게 보호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대변 검사는 장 정결제 복용, 진정제 투여, 검사일 휴가가 필요 없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훨씬 적은 영향을 미치지만 거의 동일한 효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