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나 머리카락이 목에 감겨…15개월 아기 숨 멎을 뻔했다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7월 10일 06시 30분


코멘트
미국 아칸소에서 15개월 아기가 누나의 긴 머리카락에 목이 졸려 기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빠른 응급조치로 무사히 회복했지만, 의료진은 긴 머리카락처럼 일상 속 물건도 영유아에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 아칸소에서 15개월 아기가 누나의 긴 머리카락에 목이 졸려 기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빠른 응급조치로 무사히 회복했지만, 의료진은 긴 머리카락처럼 일상 속 물건도 영유아에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미국에서 15개월 된 아기가 누나의 긴 머리카락에 목이 졸려 의식을 잃는 사고가 발생했다.

8일 의학 학술지 큐어어스(Cureus)는 미국 아칸소 의과대학 소아과에서 보고한 ‘모발 지혈대 증후군(Hair-Thread Tourniquet Syndrome, HTTS)’의 이례적인 사례를 공개했다.

기어가던 아기, 누나 머리카락에 목 조여 ‘기절’
미국 아칸소에서 15개월 아기가 누나의 긴 머리카락에 목이 졸려 기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빠른 응급조치로 무사히 회복했지만, 의료진은 긴 머리카락처럼 일상 속 물건도 영유아에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cureus)
미국 아칸소에서 15개월 아기가 누나의 긴 머리카락에 목이 졸려 기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빠른 응급조치로 무사히 회복했지만, 의료진은 긴 머리카락처럼 일상 속 물건도 영유아에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cureus)

사고는 평범한 낮 시간대, 가족이 집에 있을 때 발생했다. 당시 14세 누나는 무릎까지 내려오는 긴 머리카락을 푼 채 바닥에 누워 있었다.

15개월 된 남동생은 누나 쪽으로 머리카락 위를 기어다니다가, 목에 머리카락이 엉키기 시작했다.

누나가 자세를 바꾸자, 머리카락은 점점 더 단단하게 아이 목에 감겼다. 아이의 기도가 막혔고, 이내 얼굴이 파랗게 질리는 청색증이 나타났다.

부모가 급히 머리카락을 손으로 풀려 했지만 실패했다. 머리카락을 손톱으로 긁어내는 과정에서 아이 목 주변에는 긁힌 상처가 남았다. 결국 가위로 머리카락을 잘라낸 끝에 약 1분 만에 아이를 구조할 수 있었다.

30초간 무반응…심폐소생술로 가까스로 회복
미국 아칸소에서 15개월 아기가 누나의 긴 머리카락에 목이 졸려 기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빠른 응급조치로 무사히 회복했지만, 의료진은 긴 머리카락처럼 일상 속 물건도 영유아에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cureus)
미국 아칸소에서 15개월 아기가 누나의 긴 머리카락에 목이 졸려 기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빠른 응급조치로 무사히 회복했지만, 의료진은 긴 머리카락처럼 일상 속 물건도 영유아에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cureus)

아이를 꺼냈을 때는 이미 의식이 없는 상태였다. 약 30초 동안 축 늘어져 반응이 없자, 부모는 즉시 흉부 압박과 인공호흡을 시행했다. 다행히 아이는 곧 호흡과 의식을 되찾았다.

응급실에 도착했을 때 아이는 숨을 들이쉴 때마다 ‘쌕쌕’거리는 흡기성 협착음을 보였다. 얼굴에는 작은 점처럼 붉은 출혈이 생겼고, 눈 흰자에는 결막하 출혈이 나타났다.

결막하 출혈은 눈 속 실핏줄이 터지며 피가 고이는 현상으로, 목이 눌려 정맥 압력이 상승할 때 흔히 발생한다.

정밀 검사 결과, 다행히 혈관 손상은 없었다. 아이는 하루 입원 후 상태가 호전돼 무사히 퇴원했다.

“모발 지혈대 증후군, 목 졸림은 매우 드문 형태”
미국 아칸소에서 15개월 아기가 누나의 긴 머리카락에 목이 졸려 기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빠른 응급조치로 무사히 회복했지만, 의료진은 긴 머리카락처럼 일상 속 물건도 영유아에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SNS)

의료진은 이번 사례를 ‘모발 지혈대 증후군’의 변형 사례로 진단했다.

HTTS는 머리카락이나 실이 신체의 일부를 단단히 감아 혈류를 차단하는 응급상황이다. 주로 손가락, 발가락, 생식기에서 나타나며, 목에 감기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2022년 미국에서 침대 내 질식이나 교살로 사망한 영아 수는 약 1040명에 달한다. 그러나 HTTS처럼 머리카락이나 가정 내 일상 용품이 원인인 사고는 통계에 거의 반영되지 않아 과소 보고되는 경향이 있다.

미국 아칸소에서 15개월 아기가 누나의 긴 머리카락에 목이 졸려 기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빠른 응급조치로 무사히 회복했지만, 의료진은 긴 머리카락처럼 일상 속 물건도 영유아에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SNS)
미국 아칸소에서 15개월 아기가 누나의 긴 머리카락에 목이 졸려 기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빠른 응급조치로 무사히 회복했지만, 의료진은 긴 머리카락처럼 일상 속 물건도 영유아에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사진=SNS)

의료진은 “5세 미만 아동은 기도 구조가 작고 연조직이 연약해, 아주 가벼운 붓기에도 기도가 쉽게 막힌다”며 “목에 감긴 머리카락처럼 사소해 보이는 상황도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머리카락, 실, 전선, 커튼 끈 같은 일상 용품도 영유아에게는 잠재적 위험 요인이다. 보호자들은 평소 아기 주변 환경을 세심히 점검하고, 긴 머리카락은 반드시 묶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기#영아#질식#심폐소생술#머리카락#육아#HTTS#청색증#목 졸림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