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이 2045년 달에 기지를 세우는 한국의 중장기 우주탐사 전략을 17일 공개했다.
우주청은 이날 대전 유성구 한국연구재단에서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 공청회를 열고 2045년까지 추진할 한국 우주탐사 비전과 중장기 전략을 공개했다.
로드맵은 우주 탐사의 방향성을 △태양계·우주의 기원과 진화 탐구 △과학발전 혁신 △우주자원 활용 △신산업 창출로 설정했다. 특히 달과 화성에 기지를 건설하는 계획도 포함됐다.
우주청은 탐사 영역을 지구와 달, 태양권, 심우주로 구분하고 △저궤도·미세중력 탐사 △달 탐사 △태양 및 우주과학 탐사 △행성계 탐사 △천체물리 탐사 등 5개 사업으로 나눴다.
달 탐사 분야에서는 한국 독자 기술 및 능력으로 달에 도달하고 달에서의 이동기술도 개발한다. 또 자원을 활용해 경제기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달을 과학 연구 대상을 넘어 우주경제 생태계 기반으로 삼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2040년에는 기존 달 착륙선을 기반으로 물류수송 등을 산업화하는 새로운 달 착륙선을 개발하고 인프라 기술도 개발해 2045년 달 경제기지를 건설한다는 게 최종 목표다.
태양 및 우주과학 분야는 태양권 관측 탐사선 개발을 통해 태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우주탐사 안전을 확보한다.
행성계 탐사와 관련해서는 2035년 화성 궤도선, 2045년 화성 착륙선 개발을 위한 탐사기기 검증 등을 진행한다. 2040년까지 소행성 탐사선도 개발한다는 목표다.
우주청은 이번 로드맵을 올해 안에 확정해 국가 우주 정책의 지침으로 쓰며 5년 마다 개정할 계획이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공청회에서 수렴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수정·보완하고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 심의를 거쳐 올해 안에 최종 로드맵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라며 “국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민간 중심의 우주 생태계 조성과 지속 가능한 탐사체계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