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중앙의료원 고태훈 교수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선정
23억 원 규모로 5년간 기술 개발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인공지능뇌과학사업단의 고태훈 교수(의료정보학교실·사진)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보건의료기술 연구개발사업 중 ‘다기관-멀티모달 연합학습 기반 의료 인공지능 기술 시범모델 개발’ 연구 과제의 주관 연구 책임자로 선정됐다. 전국 주요 대학병원과 협력해 진행하며 향후 의료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이 가능한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이 목표다.
이번 연구에서 고 교수는 중환자실에 특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한다. 중환자실은 생명이 위태로운 환자가 집중 치료를 받는 곳이다. 의료진의 빠르고 정확한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환자의 생체신호, 전자의무기록, 의료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일일이 분석하고 정리하는 것은 의료진에게 부담이 되기도 한다.
고 교수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함께 학습할 수 있는 ‘멀티모달’ 기반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들 예정이다. 멀티모달은 다양한 형식의 정보를 한꺼번에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기술로 인공지능이 여러 정보를 종합해 판단하는 방식이다.
개발될 ‘AI 에이전트’는 의료진의 실질적인 업무를 돕는 디지털 조수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간호사가 근무를 교대할 때 중환자의 상태 변화나 중요한 처치 내용을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정리해 인수인계서를 생성해주는 식이다. 의료진은 시간을 절약하고 환자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번 과제는 서울아산병원, 서울대병원, 강원대병원, 분당차병원과 함께 5개 주관 기관이 참여하며 공동 연구기관으로는 동산의료원, 부천세종병원, 이모코그(인공지능 개발 전문기업)가 함께한다. 과제의 총사업비는 약 23억7500만 원 규모로 5년에 걸쳐 장기적으로 수행될 예정이다. 단순히 기술 개발에 그치지 않고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병원 환경에서 테스트를 거칠 계획이다.
고 교수는 “중환자실처럼 긴박한 환경에서 인공지능이 의료진의 손과 눈, 기억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며 “현장의 필요를 정확히 반영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