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통합 플랫폼 ‘딜’ 244명 설문
57%는 “일단 추이 지켜본 후 결정”
75% “AI 대체 땐 신입 직원 영향”
국내 기업 임원 3명 중 1명은 인공지능(AI)이 사람보다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될 경우 인력을 채용하는 대신 AI를 도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글로벌 HR 통합 플랫폼 딜(Deel)이 명함 앱 ‘리멤버’에 의뢰해 올 6월 11∼27일 국내 기업 임원급 인사 24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2.5%가 ‘AI가 더 높은 효율성을 입증할 경우 인력 채용을 AI로 대체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다만 절반 이상인 56.7%는 ‘우선 추이를 지켜본 후 결정을 내리겠다’고 했다.
응답자 4명 중 3명(75%)은 인력을 AI로 대체할 경우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직군으로 신입 지원자를 꼽았다. 또 2명 중 1명(47%)은 AI의 도입이 실제 채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했다. AI 도입으로 가장 영향을 받는 직무로는 △개발·엔지니어링(35%) △고객 지원(21%) △회계·법무 등 백오피스(18%) 순으로 꼽았다. 응답자의 67%는 ‘AI가 코딩 작업을 지원해 개발자 수요가 줄고 있다’고 답했다.
AI가 신규 채용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지만 기존 인력에 대한 영향은 작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1년간 실제로 AI로 인한 인력 감축이나 직무 변화가 없었다’는 응답은 74%로 다수를 차지했다. 다만 5명 중 1명(20%)은 ‘AI 도입으로 인해 재교육이나 직무 전환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김하경 기자 whatsup@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