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안압·혈액 공급 장애 등 여러 원인으로 발생 가능
어두운 곳서 장시간 스마트폰은 안압에 영향 미칠 수 있어
녹내장으로 손상된 시신경 회복할 수 없어 조기 검진 필요
ⓒ뉴시스
최근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과 함께 3대 실명질환으로 꼽히는 녹내장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근시 증가와 함께 젊음 층에서도 환자 발생이 늘고 있어 눈 건강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7일 의료계에 따르면 녹내장은 안압, 혈액 공급의 장애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시신경에 생기는 질병이다.
녹내장은 백내장과 이름이 비슷해 헷갈리는 경우가 많다. 백내장과 녹내장은 전혀 다른 질환이다. 백내장은 수정체에 혼탁이 생기는 질환으로 수술을 통해서 어느 정도 치료를 할 수 있어서 완치의 개념이 존재한다. 하지만 녹내장은 시신경에 병이 생기는 질환으로 완치나 회복의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 질환이다.
녹내장은 안압, 근시, 가족력 등 여러 원인이 알려져 있다. 녹내장은 안압의 영향 외에도 약물 중 스테로이드 계열의 약물을 복용하거나 젊은 층에서 심한 고도 근시가 있는 경우, 녹내장 합병증이 올 확률이 높다. 또 부모가 녹내장이 있다면 자녀의 녹내장 발생 위험은 약 2~3배 높아지고, 형제 중 녹내장이 있다면 발생 위험이 약 7~8배까지도 올라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신경은 손상되면 다시 이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 녹내장을 조기에 발견해야 리해야 하는 이유다. 녹내장은 대부분 초기에는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특히 국내는 안압이 높지 않은 녹내장 환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고, 이 경우 자각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내원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녹내장 가족력이 있다면 정기적으로 녹내장 검진을 받을 필요가 있다. 녹내장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시신경 검사, 시야검사 등을 진행한다.
녹내장 치료는 크게 약물치료, 레이저치료, 수술치료 등으로 나뉜다. 우선 약물로 높아진 안압을 조절하며, 효과가 없을 경우 레이저치료, 수술치료를 병행한다.
녹내장은 수술 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수술의 효과 지속 기간은 보통 5~10년이다. 보조적으로 혈류개선제, 황산화제제를 복용할 수 있다.
녹내장은 압력의 영향을 받는 질환이기 때문에 평소 안압이 높아지는 행동은 삼가는 것이 좋다. 물구나무서기, 관악기 연주 등을 피하고, 또한 어두운 곳에서 장시간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넥타이를 세게 매는 경우에도 안압이 상승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아울러 스테로이드 계열의 안약 및 약물 복용 시 안압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어, 스테로이드를 사용할 때는 안압을 체크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