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공식품과 동일한 칼로리를 초가공식품으로 섭취했을 때조차 건강한 남성의 성호르몬이 감소하고, 체지방이 빠르게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 NNF 기초대사연구센터(CBMR)가 주도한 이번 연구에는 20~35세 건강한 남성 43명이 참가했다. 이들은 초가공식품 식단(초가공식품 77%)과 비가공식품 식단(비가공식품 66%, 초가공식품 1% 민만)을 각각 3주 동안 섭취했다. 12주간의 휴식기를 거쳐 식단을 바꿔 같은 실험을 반복했다. 두 식단은 칼로리는 물론 단백질·탄수화물·지방 등 주요 영양소가 동일하도록 설계했다.
그 결과, 초가공식품을 섭취한 그룹은 비가공식품을 섭취했을 때보다 체지방이 약 1㎏ 더 늘었을 뿐 아니라, 생식 호르몬과 정자 건강 지표에서 뚜렷한 이상 징후를 보였다. 단 3주 만에 일어난 변화였다.
초가공식품, 남성 생식건강 위협
초가공식품 섭취했을 때 남성이 생식 능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난포 자극 호르몬(FSH) 수치 감소했다. 뇌에서 생성되는 이 호르몬의 감소는 정자 생성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정자의 운동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정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혈액과 정액 내 리튬 농도도 감소했다. 리튬은 정신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미네랄이다. 반면 플라스틱 유래 화학물질인 cxMINP 수치는 증가했다. 이는 식품 포장재 등에 첨가되어 신축성, 유연성을 높이는 프탈레이트의 일종이다.
연구 주저자인 제시카 프레스턴(Jessica Preston) 박사과정 연구원은 “연구 결과는 초가공식품이 과식 여부와 무관하게 생식 및 대사 건강에 해롭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문제는 칼로리가 아니라 식품의 가공된 특성 자체에 있다”라고 강조했다.
초가공식품은 제조과정에서 소금, 설탕, 기름, 방부제, 유화제, 합성 원료 등 많은 첨가물이 포함된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연구 교신저자인 로맹 바레스(Romain Barrès) 교수는 “건강한 젊은 남자들조차 초가공식품으로 인해 이렇게 많은 신체 기능이 교란된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며, 장기적으로 불임 및 만성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이는 공중보건 차원에서 식이 지침을 재검토해야 함을 시사한다”라고 말했다.
현재 초가공식품은 미국과 유럽 등 서구 국가에서 전체 칼로리 섭취량의 약 55%를을 차지하고 있다.
연구진은 세계 남성의 정자 수 감소가 초가공식품 소비 급증과 연관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번 연구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초가공식품을 줄이고, 덜 가공된 대안으로 식단을 전환하는 것이 남성 생식 건강을 보호하는 핵심 전략”이라고 결론지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