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돌 “AI 시대 사람들 격차 더 커질 것…자신의 한계 갇힐수도”

  • 뉴스1

코멘트

“알파고 이후 바둑계 양극화 심화…최근 사회도 같은 흐름”
“AI 활용해 인간의 틀 깨야…고정관념 없는 AI가 더 창의적”

이세돌 UNIST 특임교수 삼성SDS 리얼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9.11 뉴스1
이세돌 UNIST 특임교수 삼성SDS 리얼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9.11 뉴스1

“AI에 질문하고 (답변을) 판단한 후 다시 질문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간 격차가 어마어마하게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세돌 UNIST(울산과학기술원) 특임교수가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삼성SDS 리얼 서밋 2025’ 키노트 세션 강연자로 나서 AI 시대의 위협 요소로 ‘격차 심화’를 꼽았다.

이 교수는 “2017년 바둑 AI 프로그램을 누구나 다운받을 수 있게 됐을 때 상향평준화가 될 것이라 생각했지만, 정반대였다”며 “격차는 더욱 심화했다”고 말했다.

이어 “하위랭커가 상위랭커를 이기기 더 어려워졌고 탑랭커는 그대로 쭉 멀리 가버렸다”며 “AI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 상위랭커가 하위랭커보다 더 뛰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세돌 UNIST 특임교수 삼성SDS 리얼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9.11 뉴스1 ⓒ
이세돌 UNIST 특임교수 삼성SDS 리얼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9.11 뉴스1 ⓒ


이 교수는 바둑계에 나타난 이같은 현상이 이제는 사회 전반에서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미 앞서 나간 사람들은 3~4배속으로 성장하고 있고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현재의 자리마저 위협을 받게 될 것”이라며 “AI를 활용하면서 느낀 점은 자신의 능력이 AI 능력이 되고 자신의 한계가 AI의 한계가 된다는 거다. AI 시대에 오히려 자신 만의 좁은 한계에 갇힐 수 있다”고 했다.

이세돌 UNIST 특임교수 삼성SDS 리얼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9.11 뉴스1
이세돌 UNIST 특임교수 삼성SDS 리얼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9.11 뉴스1

이 교수는 AI를 활용해 인간이 가진 고정관념을 깰 것을 주문했다.

이 교수는 “30년 바둑을 두면서 굴곡이 없었다고 하긴 그렇지만 행복하고 즐거운 바둑 인생을 살고 있던 2016년 저의 인생에 큰 전환점이 왔다”며 “바로 알파고와 대국이 있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당시엔 인간이 컴퓨터에게 바둑을 진다. 그 당사자가 또 저였다는 걸 인정하기 싫었던 것 같다. 패배한 것 자체가 굉장한 충격이었지만, 그것보다 알파고라는 AI가 두는 바둑이 더 자연스럽고 더 창의적이라는 점이 충격으로 다가왔다”고 곱씹었다.

이세돌 UNIST 특임교수 삼성SDS 리얼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9.11 뉴스1
이세돌 UNIST 특임교수 삼성SDS 리얼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9.11 뉴스1


그는 “알파고와 대국 이후 ‘알파고 마스터’ 버전이 나왔다”며 “3번째 수로 바둑 기사라면 아무도 두지 않는 수(일명 삼삼)를 보고 깨달았다”며 “그 수 자체는 어렵지 않았지만, 한중일 기사 누구도 그 수를 두지 못했다. 어렸을 때부터 ‘두지 말라’고 배웠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인간은 고정관념과 틀에 갇혀 있지만 AI는 그런 제약이 없다”며 “그래서 더 창의적이고 자연스러워 보였다. 이 부분에서 우리가 AI와 협업해야 하는 이유를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챗GPT 등을 둘러싼 부작용(AI 정신병)도 언급했다.

이 교수는 “최근 사람과 소통하는 것이 아닌 AI와 대화하고 소통하려는 사람들이 소수지만 있다”며 “문제는 AI와의 소통은 소통이 아니라는 것이다. AI는 (전체적인) 맥락을 이해하거나 다른 관점을 제시하지 못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