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콘텐츠진흥원, ‘TGS 2025’ 한국공동관 운영.. K인디 게임 日 진출 지원 나서

  • 동아닷컴

코멘트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 이하 콘진원)이 9월 25일부터 28일까지 일본 마쿠하리멧세에서 진행중인 세계 3대 게임쇼 ‘동경게임쇼 2025’(이하 TGS 2025)에 한국공동관을 운영하며 한국의 우수한 인디 게임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했다.

TGS 2025 한콘진 공동관 ‘코리아 게임 로드쇼’(자료 출처-게임동아)
TGS 2025 한콘진 공동관 ‘코리아 게임 로드쇼’(자료 출처-게임동아)

이번 한국공동관은 TGS 2025 게임쇼에서 가장 메인 위치인 4홀에 위치했으며, 소니 플레이스테이션, 코나미, 세가 등 일본을 대표하는 게임사들 옆에서 종합 선물세트 같은 부스 형태로 꾸며졌다.

참가한 15개 게임사는 ‘게임지원’ 사업을 통해 선정된 기업들로, ▲뉴메틱(히든픽쳐스: 에이전트), ▲슈퍼웨이브(There is NO PLAN B), ▲스튜디오비비비(모노웨이브), ▲에이시티게임즈(헬로키티 마이드림스토어), ▲공감오래콘텐츠(소울원더), ▲길드스튜디오(남모), ▲라이터스게임즈(THANKS. LIGHT), ▲모들스튜디오(NOT ALONE), ▲블랙스톰(리메멘토-하얀 그림자), ▲트라이펄게임즈(레벨업 못하는 플레이어), ▲팀 테트라포드(스테퍼 레트로: 초능력 추리 퀘스트), ▲페퍼스톤즈(HIPS N NOSES), ▲하이엔드 게임즈(플라티나 랩), ▲하이퍼센트(백룸컴퍼니), ▲해긴(플레이투게더) 등이다.

한콘진 공동관(자료 출처-게임동아)
한콘진 공동관(자료 출처-게임동아)

이들 게임들은 VR 게임, 콘솔 게임, PC 소셜 게임 등 다양한 장르와 개성을 드러내며 일본 관람객들에게 다가갔다. 참가한 게임사들 또한 부스에서 자사의 게임을 소개하고 개발 경험을 공유하며 관람객과 직접 소통해 최대한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모습이었다.

여러 게임 중 하이엔드 게임즈의 ‘플라티나 랩’이 서브컬처 풍 리듬 게임으로 다양한 일본 게임사들과의 미팅을 통해 높은 비지니스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한국풍 소울 라이크 게임인 ‘남모’, 모들스튜디오의 ‘낫 어론’이나 하이퍼센트의 ‘백룸컴퍼니’ 등의 게임에 많은 바이어들이 방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콘진 공동관(자료 출처-게임동아)

한편, 콘진원은 이번 TGS 2025에 개방형 구조의 전시 부스를 구성해 이용자 접근성을 높였고, 자유로운 시연 환경과 함께 부스 가운데에 미팅 공간을 마련하는 등 전시에 완성도를 높였다. 또 피드백 설문, 간단한 간식 제공 등 체험형 프로그램으로 관람객들의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했다.

김남걸 콘진원 게임 본부장은 “세계적으로 큰 규모를 가진 게임 시장 중 하나인 일본에 국내의 우수한 인디 게임사들을 소개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라며 “콘진원에서는 앞으로도 꾸준히 국내 인디 게임 육성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게임동아 조학동 기자 igelau@gamedonga.co.kr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