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에서 말 잘 못 알아듣는 이유? “귀보다 IQ가 관건”

  • 동아닷컴

코멘트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카페나 술집처럼 시끄러운 곳에서 대화가 잘 안 들리면 혹시 청력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걱정할 때가 있다. 하지만 꼭 귀의 문제가 아닐 수 있다.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발표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청력이 정상이어도 소음 속에서 특정 목소리를 가려 듣는 능력은 IQ(지능지수)를 포함한 인지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개요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 12명 △태아알코올증후군 환자 10명 △일반인 27명 세 그룹을 대상으로 소규모 실험을 진행했다. 참가자의 나이는 13세에서 47세 사이였다.

자폐와 태아알코올증후군 환자는 정상 청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소음 환경에서 듣기 어려움을 자주 겪는다. 이들은 또한 뇌 발달 과정에서 손상이 있어 인지 능력의 범위가 넓기 때문에, 연구진은 이들이 인지적 다양성을 포착하기에 적합하다고 연구에 포함시킨 이유를 설명했다.

모든 참가자는 청력 검사를 통해 정상 청력임을 확인한 후 실험에 들어갔다. 헤드폰을 착용한 채 여러 명의 목소리가 동시에 들리는 환경에서 주 화자의 지시를 따르는 ‘다중화자(multi-talker) 듣기 과제’를 수행했다. 이후 언어 능력과 지각 추론을 포함한 표준화된 지능검사를 받았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주요 결과

분석 결과, IQ 등 인지 능력이 높을수록 소음 속에서 주 화자의 목소리를 더 잘 구분해 지시를 정확히 따랐다.

연구진은 “세 집단 모두에서 인지 능력과 소음 속 듣기 성과 사이에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라고 밝혔다.

교신 저자인 보니 라우(Bonnie Lau) 박사(워싱턴대 의대 이비인후과)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대화를 이해하려면 단순히 귀로 듣는 것 이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뇌는 여러 말소리를 구분하고, 집중할 대상을 선택하며, 불필요한 소음을 억제해야 한다. 동시에 각 음소와 단어를 인식해 이해하고, 상대방의 표정이나 몸짓이나 손짓 같은 사회적 단서도 활용한다. 이런 복합적인 과정이 바로 ‘인지적 부담’을 크게 높인다는 것이다.

듣기 어려움 = 곧 청력 손실은 아니다

라우 박사는 이번 연구가 흔한 오해를 바로잡는다고 말했다.

“레스토랑에서 대화가 잘 안 들린다고 해서 반드시 청력이 나쁘다는 뜻은 아니다. 인지 능력도 듣기 이해의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시사점과 활용 방안

이번 연구는 인지 능력이 낮거나 신경 발달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소음 환경에서 듣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50명 미만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연구라 일반화에 한계가 있지만, 이 같은 결과는 중요한 시사점을 남긴다. 즉, 학교처럼 여러 명이 모인 공간에서 이들을 앞자리에 배치하거나 보청기 같은 보조 장비를 제공하는 등 맞춤형 지원을 하면 듣기 능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관련 연구논문 주소: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329581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