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여러분의 식사 속도는 얼마쯤 되시나요?
효율성과 속도를 중시하는 한국인의 ‘빨리빨리’ 문화와 습관은 급격한 경제성장과 발전을 이끄는 데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습관이 일상생활에 자리 잡으면서 적잖은 건강 문제를 야기하기도 합니다. 특히 지나치게 빠른 식사 속도는 소화불량, 비만뿐 아니라 당뇨병과 같은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전문가들은 “20분도 안 될 만큼 빠른 속도로 식사를 하면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이는 뇌가 포만감을 느끼기까지 약 20분이 걸리기 때문에 너무 빨리 식사하면 과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죠.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클리닉의 레슬리 하인버그 박사는 “빠르게 먹는 습관은 복부 팽만감이나 소화불량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음식물을 충분히 씹지 않고 그대로 삼키면 영양소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신체에도 손해”라고 강조합니다.
캐나다 매니토바대의 사이 크리슈나 구디 박사도 “빠른 식사 습관은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빠르게 식사하면 과식할 가능성이 높고, 그로 인한 열량의 과다 섭취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또 다른 연구팀에서는 “빠르게 식사하는 사람들이 느리게 식사하는 사람들보다 평균 체질량 지수가 높고, 비만이 될 확률이 2배나 더 높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설명합니다.
강북삼성병원 서울종합검진센터는 위염 역시 빠른 식사 습관과 연관이 있다며 “5분미만으로 식사하는 사람은 15분 이상 식사하는 사람에 비해 위염 발병 위험이 약 1.7배나 더 높다”고 밝혔습니다. 음식물이 위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위 점막이 위산에 장시간 노출되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결론적으로 말해,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한국인 특유의 빨리빨리 문화에서 벗어나 여유 있게 식사하는 식습관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전문가들은 식사 시간에 TV 시청이나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고, 한 입당 30번 이상 씹는 것을 권장합니다. 저도 매우 빠른 속도로 밥을 먹는 사람 중 하나인데, 이제부터는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라도 천천히 음미하면서 식사하는 습관을 길러야 되겠네요.
|
|
|
|
|  | | |  | 발 씻기, ‘매일 비누로 싹싹’ vs ‘이틀에 한 번 살살’ …당신은 어느 쪽? | 발, 어떻게 얼마나 자주 씻는 게 최선일까. 누구는 샤워할 때 물을 적시는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다른 누군가는 비누로 구석구석 꼼꼼하게 씻어야 한다고 말한다.씻는 빈도에 대해선 미생물의 보호 효과를 위해 피지 층이 남… |
|
|
| | |  |
|
|  | | |  | 빈 속에 ‘이것’ 한 컵 드세요…몸 속 독소 제거에 좋아 | 3월 22일은 ‘세계 물의 날’이다. 이는 원래 기후 위기와 물 부족 문제를 환기하기 위해 정해진 날이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건강한 수분 섭취’에 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물이 우리 몸에 주는 이점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된 … |
|
|
| | |  |
|
|  | | |  | 중년기 잘록한 허리, 노년기 뇌 건강 좌우…‘이런’ 운동하면 된다는데 | 중년기의 엉덩이-허리 비율과 식습관이 노년기 뇌 건강과 기억력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미국 의사협회 학술지 JAMA Network Open에 연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연구팀은 1176명을 2… |
|
|
| | |  |
|
|  | | |  | “마라톤, 근육 운동 병행해야 오래 즐겨요” | 1982년 미스터코리아 출신 창용찬 대한보디빌딩협회 코치아카데미 원장은 지난해 ‘일흔 살에 마라톤 풀코스를 다시 완주하겠다’는 목표를 버킷리스트 중 하나로 추가했다. 그리고 지난해 말부터 마라톤 훈련을 시작했다. 올해 만 70세가 … |
|
|
| | |  |
|
|  | | |  | 통곡물 식품, 흰쌀밥·흰빵보다 정말 더 건강할까? | 통곡물은 건강한 식품으로 통한다. 질병관리청은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통곡물, 채소, 콩, 생선 섭취를 권장한다.통곡물이 건강하다는 믿음은 전 세계적이다. 미국인을 위한 식이 지침에는 전체 곡물 섭취량의 절반 이상을 통곡물로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