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백을 기리는 만가(挽歌) 같은 시. 시인은 경천동지할 문장을 남긴 이백의 족적과 대비되는 황량한 무덤 앞에서 비탄에 잠긴다. 고인의 삶이 왜 불운했을까. 호방한 기질에다 주정(酒酊)을 부리며 거친 언행을 마다하지 않은 그였으니 주류 사회, 기득권층과의 마찰은 불문가지다. 현종의 총애에서 멀어지고, 숙종 치하에서는 죽음 직전까지 내몰렸던 고인의 이력을 회고하면서 시인은 애써 ‘시인들은 대부분 운세가 사나웠다’라 자위한다. 하긴 두보도 ‘문장가는 운수대통하는 걸 싫어한다’(‘하늘 끝에서 이백을 그리다’)라며 이백을 옹호한 바 있으니 이런 논리가 속설처럼 퍼져 있었던 듯하다. 개성 강한 문인의 곤고(困苦)한 삶에 대한 안타까움을 역설한 듯도 하다.
채석 강변은 이백이 아저씨뻘 친척에 의탁하여 말년을 보내면서 자주 찾았던 곳. 여기서 지은 시만 50여 수나 된다. 이곳 무덤은 이백이 실제 묻힌 곳이 아니라 의관총(衣冠塚). 술 취한 이백이 강물 속 달을 건지려다 목숨을 잃었다는 전설에 맞추어 마련된 무덤이다. 이백을 흠모한 시인들이 이곳을 찾아 남긴 문장만 1100편에 이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