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언 정신분석가·서울대 명예교수정신분석을 하다 보면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일들을 반복하는 피분석자들을 만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자신을 이용하고 해를 끼치는 이성 친구와 어렵게 헤어진 뒤 다시 비슷한 성향의 다른 사람을 찾아 만나는 경우입니다. 물론 피분석자가 일부러 그런 사람을 만난 것은 아닙니다. 이는 어린 시절의 경험에 따른 무의식의 힘이 현재의 삶에 작용한 결과입니다.
도대체 어떤 동기가 작동해 본인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경험을 반복하게 되는 걸까요. 과거에 안 좋은 경험을 했다면 그 경험을 통해 나름의 배움이 있었을 겁니다. 그렇다면 상식적으로 안 좋은 경험을 되풀이해선 안됩니다. 분석 이론에서는 이렇게 좋지 않은 경험을 되풀이하는 현상을 ‘반복 강박’이라고 부릅니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개념으로, 과거에 해결되지 않은 경험을 무의식적으로 되풀이하려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유는 무엇일까요. 사람에 따라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포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자신이 그런 식으로 되풀이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하거나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면 자존감에 상처를 입으니 이를 피하려고 같은 선택을 합니다. 둘째, 비슷한 일을 되풀이함으로써 이전에는 어쩔 수 없었던 실패를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 성공으로 바꾸고 싶은 마음입니다.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는 소망을 품고 반복하지만, 또다시 실패합니다.
셋째, 실패의 탓을 자신의 책임이 아닌 다른 사람이나 환경의 탓으로 돌립니다. ‘투사’라는 방어 기제를 쓰는 겁니다. 넷째, 실패를 합리화합니다. 남들도 다 그렇게 산다거나 삶의 본질이 그러하다고 이런저런 이유를 대면서 자신을 달랩니다. 다섯째, 반복 강박이 있는 사람들은 평소 자신을 비판하고 꾸짖는 성향을 지닌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성향의 사람은 실패를 되풀이하며 미묘한 만족감을 얻습니다. 어떤 이유로든 죄책감에 시달려 왔다면 실패를 통해 벌을 받아야 한다는 욕구가 충족되기 때문입니다. 여섯째, 어려서 부모와 맺은 애착 관계가 불안정하다면, 과거의 대상 관계를 어른이 돼서도 아무 생각 없이 관계에서 되풀이할 확률이 높습니다.
이러한 성향의 사람들은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좌절을 반복하면 누군가에게 구원받고 싶은 소망을 품게 됩니다. 이를 충족하려고 근거 없는 이야기에 빠져서 그 이야기를 무조건 믿고 몰입하기도 합니다. 이야기의 본질을 파악하려고 하지 않고 그럴듯하게 느끼기만 하면 그대로 믿어버립니다. 위에 든 이성 친구의 예와 같이 처음에 호감을 느끼면 이성적으로 세심하게 판단하려고 하기보다는 겉으로 보이는 것들에 관심을 가지고 감성적으로 집중합니다. 그 사람에 대해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 믿다 보니 우려할 측면들을 놓치게 되는 것입니다. 두루두루 살펴보려고 하지 않고, 복잡한 생각이 들면 고개를 돌립니다.
개인의 자주성을 추구하기보다는 집단에 소속됨으로써 마음의 안정과 정체성을 찾으려고 합니다. 자신의 의견이 아닌 집단의 주장을 깊은 생각과 판단을 하지 않고 따릅니다. 집단의 지도자가 자신을 힘든 상황에서 구원할 것이라는 환상에 사로잡힙니다. 논리적 판단보다는 감성의 호소에 이끌립니다. 이러한 성향은 교육의 수준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합리적인 판단이 아닌 합리화에 치우쳐 있기 때문입니다.
분석가는 피분석자가 지닌 익숙한 생각이나 믿음을 낯설게 느끼도록 만들어 스스로 성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미 마음에 굳게 새겨진 것들을 녹여내는 작업을 서서히 반복합니다. 여러 이유로 마음에 끌려서 믿는 것들을 짧은 시간에 바꾸는 일은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피분석자를 부추겨 분석가 마음대로 특정 방향으로 이끄는 일은 피해야 합니다. 삶의 선택은 분석가가 아닌 피분석자의 몫이기 때문입니다. 분석가는 이끄는 사람이 아니고 같이 가면서 돕는 사람입니다. 분석가는 여행객이 아닌 가이드입니다.
실패를 거듭하며 고통받은 피분석자는 삶의 미래를 설계하는 일에 늘 소극적입니다. 어떤 결정을 내리는 일 역시 자꾸 미룹니다. 망설이고 주저하면서 시간을 끌면 책임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자신도 모르게 착각합니다. 그러한 왜곡 그리고 두려움 역시 분석에서 깊이 있게 다뤄야 합니다.
공부할 때 틀린 문제를 다시 공부하는 ‘오답 노트’를 만들어 반복합니다. 혹자는 반복 강박에 비유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의식의 세계에서 복습이 도움이 되는 것과 달리 무의식이 작용하는 삶에선 반복 강박은 실패의 추가로 끝납니다. 그렇다면 무의식의 세계를 탐색하고 이해하는 정신분석은 인생 ‘재수’를 되풀이하지 않게 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