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국내 소멸 위험 시군구는 전국 228개 중 57%로, 이 지역에 총 65개 대학이 있다. 소멸 위험 지역의 대학이 유학생을 유치해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한다면 이는 긍정적인 일이다. 문제는 마구잡이 유학생 유치다.
최근 중국의 몇몇 지역에서 신임 교수 모집 시 한국 대학 학위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일부 대학이 단기간 박사학위 수여, 방학 중 학위과정 운영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대학을 태국이나 말레이시아, 필리핀의 대학과 동급으로 보는 일도 생겨난다.
유학생 유치 과정에서 한국 대학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사례는 많다. 중국 전문대 3년 졸업 후 한국 대학에 4학년으로 편입하는 경우이다. 이들은 전공이 달라도 1년 만에 한국 대학의 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동남아 등에서 영어 트랙으로 학부 신입생을 유치해 취업을 시키는 경우도 있다. 일부 대학원에선 유학생의 자국 대학 수료증만 있어도 입학을 허가한다. 이런 상황인데도 교육부나 대학은 유학생 유치에만 관심이 있을 뿐이다.
대학의 유학생 유치정책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전문대를 졸업하고 한국 대학에 편입할 경우 최소한 동일 계열이거나 관련 전공의 기초과목을 이수하도록 해야 한다. 편입은 3학년에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특히 동남아 영어 트랙에 대한 관리가 강화돼야 한다. 박사학위 수여도 상식적 원칙이 지켜지도록 감독이 필요하다. 2년 만에 박사학위를 딸 수 있거나 방학 때 잠시 와서 과정을 이수해도 졸업이 가능하면 학위를 양산한다는 소리를 들을 수밖에 없다.
교육부의 유학생 유치 및 관리 제도의 혁신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학위는 대학 학칙에 일임하고 있는데 박사학위의 경우에는 최소 연한의 규제를 두는 것도 한 방법이다. 유학생 유치 등에 대한 정책적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
대학은 국제 랭킹 제고 노력을 해야 한다. 국제대학평가 결과는 유학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게 사실이다. 한국 대학들에도 이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야 지속가능한 유학생 유치가 가능하다.
※동아일보는 독자투고를 받고 있습니다. 각 분야 현안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이름, 소속, 주소, 휴대전화 번호 등 연락처와 함께 e메일(opinion@donga.com)이나 팩스(02-2020-1299)로 보내주십시오. 원고가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
구자억 서경대 혁신부총장·국제융합대학원장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