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불러 “투자” 다그친 트럼프 4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국빈만찬장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초청으로 모인 빅테크 기업 수장들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구글 등 인공지능(AI) 분야 빅테크의 창업자와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하라고 요구했고, 참석자들은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다. 사실상 미국 빅테크에 투자 압박을 가하는 게 목적이었던 행사란 평가가 나온다. 워싱턴=AP 뉴시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1기 행정부가 2019년 초 ‘김정은 도청 작전’을 벌이기 위해 미 해군 특수부대를 북한에 침투시켰다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그해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의중을 파악하기 위한 극비 작전이었지만, 북한 민간인 선박이 나타나 작전에 실패한 것으로 전해졌다.
5일(현지 시간) NYT에 따르면 2018년 가을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통신을 감청할 수 있는 장비를 북한에 설치하는 작전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미 해군 특수부대 ‘실팀6(SEAL Team 6)’ 부대가 핵추진 잠수함을 타고 2019년 초 북한 해안에 침투했다. 실팀6는 9·11테러를 일으킨 알카에다의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을 사살한 최정예 특수부대. 이들은 실전에 투입되기 전 미국 해역에서 수개월간 훈련을 받았다. 8명의 부대원이 소형 잠수정 2척에 옮겨 타 북한 해안에 접근한 순간, 북한 어선이 나타났다. 당시 발각을 우려한 부대원들이 북한인 두세 명을 사살한 뒤 잠수함으로 복귀했다. 숨진 이들은 북한의 조개잡이 어민들로 추정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도청 작전을 승인한 때는 2018년 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마친 뒤 북한과 고위급 접촉을 이어가던 시기다. NYT는 미국이 대북 비핵화 협상에 대비해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도청 작전을 벌였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사전이나 사후에도 이 작전을 의회에 보고하지 않았다. 다만,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선 2021년에야 조사와 의회 보고가 진행됐다.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가 의회에 대한 보고 의무를 위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 국방부는 실팀6의 북한 민간인 총격에 대해 교전수칙상 정당했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실팀6의 작전이 실패한 직후인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은 ‘노딜’로 끝났고, 북한은 이후 핵개발을 가속화했다. NYT는 “북한 영토에서 수행된 당시 군사작전은 자칫 광범위한 충돌을 유발할 수도 있었다”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