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으로 컴퓨팅, 뇌에 칩 이식 3∼4년내 대중화”

  • 동아일보

코멘트

서동진 뉴럴링크 공동창업자
인간 뇌와 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머스크와 함께 스타트업 세워 연구
“BCI기술이 새 상상력 불러올 것”

1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에서 서동진 뉴럴링크 공동 창업자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최종현학술원 제공
1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에서 서동진 뉴럴링크 공동 창업자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미래를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최종현학술원 제공
“앞으로 3, 4년 내에 건강한 사람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이식을 선택하는 ‘전환점’이 올 것입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함께 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를 세운 서동진 뉴럴링크 공동창업자가 15일 서울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 강연에서 한 말이다. BCI 기술은 뇌에 전극을 이식해 뇌파를 전기신호로 바꾼 뒤 컴퓨터와 정보를 주고받는 기술이다. 생각만으로 컴퓨터나 전자장비를 조작할 수 있는 해당 기술의 임상 대상이 지금은 사고나 질환으로 운동 능력을 잃은 환자에게 국한돼 있지만, 머지않아 건강한 사람도 뇌에 칩을 이식하는 시대가 올 것이란 예측이다.

서 창업자는 머스크 CEO와 뉴럴링크를 공동 창업한 과학자 8명 중 한 명이다. 그는 유년기 미국으로 이주해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에서 전기공학, 신경과학 분야를 연구했다. 2020년 매사추세츠공대(MIT)가 발간하는 ‘테크놀로지 리뷰’ 선정 ‘35세 이하 혁신가 35인’ 중 한 명에 꼽혔다.

이날 서 창업자는 최종현학술원과 한국고등교육재단, 크래프톤이 공동 주최한 강연에서 뉴럴링크의 최신 임상 사례를 공개했다. 다이빙 사고를 당해 어깨 아래 전신이 마비된 미국의 놀런드 아르보 씨는 뉴럴링크의 첫 임상실험 대상자로 참여해 생각만으로 체스를 둘 수 있게 됐다. 서 창업자는 “임상 참여자들이 하루 7시간 40분 동안 이 장치를 사용하고, 일부는 일주일에 100시간 이상 활용할 정도로 삶의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았다”고 설명했다. 뉴럴링크에 따르면 현재 12명이 뉴럴링크 이식 시술을 받았다.

서 창업자는 “뉴럴링크의 신호 전송 속도는 척수를 거쳐 근육을 움직이는 신호보다 10배 이상 빠르다”며 기존 인간의 반응 속도를 넘어서는 ‘초인간적 능력’의 실현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의 목적은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 것이지만 동시에 인간의 경험을 확장시킬 것”이라며 “스마트폰이 인간의 창의성을 확장했듯 뇌 인터페이스 기술이 새로운 상상력을 불러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뉴럴링크#서동진#일론 머스크#임상실험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