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은아 “2022년 국힘 당대표 쫓아내기와 유사”
이기인 “패션정치 싫어서 당직자들 떠난 것” 반박
이준석 “상왕정치 없어, 당헌·당규 통해 사태 정리해야”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시-도당위원장과 당직자 간 고성이 오가고 있다. 2025.01.13. 서울=뉴시스
개혁신당의 내홍이 이어지고 있다. 허은아 대표는 13일 개혁신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갈등의 원인이 ‘이준석 의원의 상왕정치’라고 주장했고 천하람 원내대표와 이기인 최고위원은 ‘허 대표의 사당화’가 본질이라고 받아쳤다.
개혁신당은 이날 오전 9시30분께 국회 본관에서 최고위원회를 진행했다. 최고위 시작 전부터 지도부들은 갈등을 드러냈다. 허 대표는 최고위원들에게 “사전회의에 왜 안 들어왔냐”고 물었고 천 원내대표와 이기인 최고위원은 “통지가 없었다”고 반박했다.
개혁신당은 지난해 12월16일 허 대표가 이준석 의원의 측근인 김철근 전 사무총장을 경질한 이후 내부 충돌이 이어지고 있다.
허 대표는 김 전 사무총장이 월권을 해 경질했다는 입장이다. 이 의원이 이른바 ‘상왕정치’를 하면서 당대표 권한을 제대로 행사할 수 없다는 주장도 하고 있다. 반면 김 전 사무총장은 월권은 없었다고 반박하고 있다. 이 의원도 개혁신당 당무에 개입하지 않았다고 선을 긋고 있다.
허 대표는 이날 모두발언에서 “지금 벌어지고 있는 상황은 지난 2022년 여름 국민의힘에서 벌어졌던 일과 다를 바가 없다”며 “달라진 점이 있다면 당 대표가 이준석이 아닌 허은아고, 대주주가 윤석열이 아닌 이준석이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준석 의원은 더 이상 상왕정치에 대한 집착 버려야 한다”며 “사무총장 임몀권은 당대표의 고유권한임을 인정해야 하고 최고위 회의진행은 대표의 고유권한”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천하람 원내대표와 최고위원은 당헌·당규를 위반하는 행위를 중단해달라. 대표를 허수아비로 만들려는 사무총장의 당헌·당규 개정 시도는 잘못된 것임을 인정하라”고 했다.
이에 대해 천 원내대표는 “당직자들로부터 가장 많이 들었던 표현은 (허 대표가) 당을 의원실처럼 운영하려고 한다는 것”이라며 “당 전체의 시스템보다 본인이 절대적 존재로서 본인의 말에 절대복종 해야 하고, 본인의 말 위주로 당이 돌아가야 한다(는 이야기를 가장 많이 들었다)”고 말했다.
천 원내대표는 “설사 본인이 틀려 이를 사무처를 비롯한 당직자들이 바로 잡으려고 해도 ‘내가 당대표’인데 하는 식으로, 권한과 지위로 밀어붙이려 한다는 이야기를 가장 많이 들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다툼의 본질은 지난 총선 당시 있었던 비례대표 공천 갈등의 후유증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허 대표와 당권을 놓고 경쟁했던 이기인 최고위원은 “개혁신당의 갈등 핵심은 누군가의 경질도 있지만 무엇보다 당직자의 고충과 그들이 내지른 비명”이라며 “자신의 가족들까지 당직자로 임명해서 사당화했다”고 주장했다.
이 최고위원은 “허 대표는 애먼 이준석에게 ‘상왕’이라며 시선을 다른데로 돌리고 있다. 지금 허 대표는 이준석이 아니라 그야말로 바른미래당의 손학규”라며 “한 줌의 권력을 움켜잡고 놓지 않으려고 수 많은 동료들을 정치적으로 압박으로 죽이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허 대표에게 “최측근 당직자들도 떠나고 등을 돌리고 있다. 허은아의 패션정치가 싫어서 반대하는 정치적 결단”이라며 “제발 결자해지 하시라”고 했다.
이같은 비판에 허 대표는 “만약에 이준석 의원이 당대표 였다면 똑같이 했겠는가”라면서 “부족한 가장은 있을 수 있다. 어떤 가장도 집안을 망하게 하고 싶은 사람은 없다. 가장이 마음에 안 든다고 집을 나가라고 하겠나”고 반박했다.
이준석 의원은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허 대표가 2022년 국민의힘 당대표 축출 사태와 비슷하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의 질문에 “누가 윤리위원회를 동원한다든지, 절차에 없는 방법으로 허 대표에게 뭐라고 하는 사람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답변했다.
이어 “제가 허 대표에게 상왕이라고 지칭 받을 정도의 행위를 한 것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이야기를 못할 것이다. 사실 저는 그런 일을 하지 않았다”며 “구체적으로 어떤 사안이 있으면 (허 대표가) 이야기를 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처음 얼굴을 봤을 만한 분들이 아니라 알고 지내던 복수의 관계자들이 일관되게 허 대표에게 유리하지 않은 증언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당헌·당규에 보장된 절차를 통해서 이 사태가 조기에 정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옳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