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딥시크 군사기밀 유출 우려에 “장병들 모바일도 보안대책 강구”

  • 뉴시스(신문)

코멘트

“관련 부처와 후속 조치 해 나갈 것”

AP 뉴시스
AP 뉴시스
국방부가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에 군사기밀이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더 강화된 보안 조치를 취하겠다고 6일 밝혔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국방부는 외부 인터넷과 분리된 인트라넷 망으로 모든 정보 교환·교류·처리 업무를 처리한다”며 “일부 업무용으로 인터넷을 활용하는데 그 인터넷에도 필요한 보안 대책 등은 다 강구돼 있다”고 설명했다.

전 대변인은 이어 “생성형 AI와 관련해 요즘 기술적인 또는 보안상의 우려가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며 “필요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하거나, 관련 부처와 후속 조치를 해 나갈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군사정보는 생성형 AI뿐만이 아니고 모든 상황에서도 필요한 대책을 강구해 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장병들이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에서 군사기밀이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전 대변인은 “우리 장병들이 활용하고 있는 모바일에 대해서도 필요한 보안 대책이 강구돼 있다”며 “앞으로도 보안 대책을 더욱 강구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것(보안 대책)이 수록되는 국방AI보안가이드를 작성·배포해 전군이 활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장교들) 업무용 폰에는 이미 보안 대책이 다 강구돼 있고, 개인용 폰에는 사용 지점과 활용장소에 따라 보안 대책을 적용하고 있다”며 “그걸 어겼을 경우에는 필요한 책임도 진다”고 강조했다.

딥시크는 AI학습과정에서 이용자 기기 정보와 IP,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전방위적으로 수집해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호주와 일본, 대만, 미국 텍사스주 등은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한 바 있다. 이탈리아 또한 앱 마켓에서부터 다운로드를 전면 차단했다.

이처럼 딥시크 사용으로 인한 기밀 유출 우려가 커지자, 우리 국방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부처들도 지난 4일부터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이용을 한시적으로 차단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