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 유지한 채 경선…부담 없이 정치적 체급 키울 기회
與 오세훈 홍준표 등 7명 거론…野 김동연 김영록 ‘준비’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현직 광역자치단체장들도 들썩이는 모습이다. 현직 신분을 유지한 채 당내 경선에 참여할 수 있고, 대선 본선에 출마하기 위해 사퇴해도 재·보궐선거를 치르지 않을 가능성이 큰 만큼 부담 없이 도전에 나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직 광역자치단체장들이 대권 도전을 노리는 건 정치적 체급을 키우고, 내년 6월 치러질 지방선거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계산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대선에 나서면서 자연스럽게 자신이 이끄는 지자체의 이슈도 띄울 수 있기 때문이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권에서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홍준표 대구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박형준 부산시장, 이장우 대전시장, 김태흠 충남도지사,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대선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야권에서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후보로 꼽힌다. 홍 시장과 김영록 지사는 대선 출마 의사를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현직 광역자치단체장들의 대선을 겨냥한 행보도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오 시장은 이달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개헌토론회를 주최했는데,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 등 여당 지도부를 비롯해 48명에 달하는 현역 의원들이 참석해 사실상 오 시장의 대선 출정식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오 시장은 개헌과 서울시에 추진 중인 규제철폐 등을 내세워 대권 행보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준표 대구시장. 2025.1.31. 뉴스1홍 시장은 시대정신으로 ‘통합’을 강조하며 대선 주자로서의 존재감을 부각하고 나섰다. 홍 시장은 이날 “2002년 노무현 정권 이후 대한민국은 보수, 진보 우파, 좌파로 갈라져 갈등과 분열, 반목과 질시로 20여년을 보냈고 그 결과 진영 대결이 심화돼 그 극한점에서 충돌한 것이 비상계엄 사태”라며 “통합만이 시대정신이고, 통합만이 나라의 혼란을 극복하고 나라를 안정시키는 최선의 방책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정복 인천시장. 서울=뉴시스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을 맡고 있는 유 시장은 분권형 개헌을 띄우며 대권 행보를 준비하는 모습이다. 유 시장은 19일 국회를 찾아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나 분권형 개헌을 강조하며 협력을 요청했다. 유 시장은 다음 달 7일 국회에서 개헌을 위한 국민대토론회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 박 시장은 대선 출마에 신중론을 펼치고 있으나, 정치권에서는 대선 출마 가능성이 지속 거론되고 있다.
김태흠 충남지사. 2024.8.21. 뉴스1대선 때마다 ‘캐스팅보터 역할을 해오고 있는 충청권을 기반으로 하는 이 시장과 김 지사는 ’충청 대망론‘이 확산하길 기대하는 기류다. 한 충청지역 국민의힘 의원은 “충청에서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대권 후보가 나와야 한다”며 “이 시장과 김 지사 모두 원내 경험도 있는 등 대선에 충분히 도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 뉴스1보수의 심장인 대구·경북(TK)을 정치적 기반으로 하는 이 지사는 1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 윤 대통령 체포와 탄핵 심판 과정에서 나타나는 무리하고 부당한 조치들을 국민 모두가 목격하고 있다”며 “반국가세력이 자당 대통령을 탄핵하려는 시도를 보고도 또다시 우물쭈물 눈치를 보다간 국민의 신뢰도 잃고 정권도 잃어 훨씬 더 냉혹한 적폐 청산을 당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TK 민심과 보수층을 겨냥한 메시지로 풀이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2025.02.14. 광주=뉴시스더불어민주당 소속 현직 광역자치단체장들도 대선 출마 의지를 내비치며 대권 행보 준비하는 상황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대선 출마 의사를 직접 표명하진 않았지만, 출마 결심을 굳히고 정책 비전 준비 등 출마 준비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영록 지사는 공개적으로 대선 출마 의사를 피력하며 주요 인사들과의 회동을 이어가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 2025.2.15. 뉴스1현직 광역자치단체장들이 대선 출마에 적극적인 건 현직 신분을 유지한 채 당내 경선에 참여하는 게 공직선거법으로 제한되지 않기 때문이다. 당내 경선에서 패배해도 업무에 복귀할 수 있다.
당내 경선에서 승리해 본선 후보가 돼 현직 광역자치단체장이 사퇴할 경우에도 재·보궐선거는 열리지 않을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통상 지방자치단체장 재·보선은 1년에 두 차례(4월·10월) 실시된다. 선관위는 이달 28일까지 실시 사유가 확정된 경우 4월 2일에 재·보선을 실시할 계획이다. 현직 광역자치단체장들의 임기는 내년 6월 30일까지로 선거법에 따르면 선거일부터 임기 만료일까지 남은 기간이 1년 미만일 경우 보궐선거를 치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올해 10월 재·보선은 열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