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참고인 26명 중 21명은 계엄 관련…오 씨 의혹 참고인 3명뿐
여 “상임위 취지에 안 맞아”…야 “오 씨 유가족 정쟁화 원치않아”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최민희 위원장이 회의를 개의하고 있다. 2025.02.25. 뉴시스
12·3 비상계엄 가짜뉴스 의혹과 관련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현안질의가 다음 달 5일 열린다. MBC 기상캐스터 고(故) 오요안나 씨에 대한 직장 내 괴롭힘 의혹 관련 현안질의도 함께 진행된다.
과방위는 이날 오후 국회 본청에서 전체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하고 방송통신 관련 현안질의 증인 등 출석요구의 건을 의결했다.
과방위는 현안질의 주요 증인으로 김태규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 구글코리아·네이버·카카오 주요 관계자 등 21명을, 참고인으로 MBC 노조위원장 등 5명을 채택했다.
야당 주도로 계엄 관련 증·참고인(21명)이 대거 채택되자 국민의힘은 우려를 표했다. 계엄보다 오 씨 사건 진상 규명에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최형두 국민의힘 간사는 “수사 재판이 진행 중인 사건을 단정적으로 (현안질의를) 하는 것이 상임위 취지와 맞지 않다는 강력한 이의가 있는 반면, 과방위가 오 씨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와 관련한 억울한 죽음은 왜 다루지 않느냐는 비난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상임위 운영을 이렇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도 “야당은 오 씨 사건과 관련해선 MBC 관계자를 아무도 증인으로 신청하지 않았다”며 “KBS 직장 내 괴롭힘 사건에 대해서는 증인을 신청하고, MBC와 관련해선 증인을 신청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야당은 오 씨 유가족 요청 등을 고려해 오 씨 사건을 부각하지 않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현 더불어민주당 간사는 “유가족이 오 씨 죽음이 청문회로 다뤄지는 것을, 정쟁화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라며 “MBC가 적극적으로 사건 진상 규명을 파악해달라는 게 유가족 주문”이라고 반박했다.
노종면 민주당 의원은 “음모론을 배격하고 허위조작 정보를 막아내고 직장 내 괴롭힘 같은 범죄 행위를 다 함께 비판하고 막아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있냐”며 “오 씨 사건과 관련해선 여야 위원들이 관련 질의를 신중히 하겠지만 행여라도 2차 가해 논란이 안 생기면 좋겠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