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대사 “反中집회, 극소수 세력이 정치적 목적으로 中 이용”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2월 26일 16시 00분


코멘트

다이빙 주한 中대사 기자간담회
“中 한국선거 개입 주장 근거없어
기술 문제 정치화-차별화에 반대
딥시크 금지령 빨리 해제되길”

ⓒ뉴시스
다이빙(戴兵) 주한 중국 대사가 최근 부정 선거 의혹과 관련한 반중(反中) 집회 등에 대해 “중국이 한국선거에 개입했다는 주장은 아무런 근거가 없다”면서 “한국 국민이 이런 세력들의 진실을 잘 구분하고 판단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다이 대사는 25일 서울 중구 주한 중국대사관에서 3시간 반가량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내정 불간섭 원칙에 따라 한국 국내 정치에 대한 평가를 삼가겠다”면서도 반중 집회를 거론했다.

다이 대사는 “(이들이) 한국에 극소수라는 걸 알고 있고 한국 사회 전반을 대표할 수 없다는 걸 잘 알고 있다”며 “이런 세력들이 중국을 카드로 삼아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려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이런 집회가 반복되면 한국의 이미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최근 윤 대통령 지지자가 중국대사관에 난입하려다 체포된 사건에 대해서도 “아주 악성적인 사건”이라며 “이런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이어 “한국 국민들이 국내 문제를 잘 처리할 능력과 지혜를 갖고 있다고 믿지만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사안이 있으면 적절한 방식으로 우려를 표할 수밖에 없다”고도 했다.

다이 대사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정책에 대해선 “중국과 미국 관계의 본질은 패권을 위해 다투는 것이 아니라 미국이 중국의 발전을 억제하는 것이 본질”이라고 주장했다. 미국이 한국에 대(對)중국 압박 동참을 요구할 것이라는 전망과 관련해선 “미국을 일방적으로 선택하고 중국의 방대한 시장을 포기하는 것은 현명한 선택이 아니다”고 했다. 이어 “과거 2년간 중한(한중) 관계 기복의 교훈은 양측 이견과 갈등을 잘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특히 미국이 제기하는 부당한 요구 앞에서 한국은 자기 이익과 한중 공동 이익과 관련한 문제를 잘 처리해야 한다”고 했다.

다이 대사는 최근 정부가 중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 사용 중단 조치에 대해선 “기술·과학 문제를 안보화, 정치화하고 차별적 대우를 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이라며 “일시적인 금지령이 이른 시일 내에 해제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중국이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을 해제할 수 있다는 기대에 관련해선 “양국 국민의 교류가 충격받은 것은 사실”이라며 “양국관계가 개선되고 국민감정이 좋아지면 양국 문화교류도 자연스럽게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다이빙#중국 대사#한중 관계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