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탄핵 인용” 54% “기각” 38%… 최후진술에도 큰 변동 없어

  • 동아일보

코멘트

전국지표조사, 중도층선 65%대26%
“헌재 신뢰” 52% “신뢰 안해” 44%
대통령 적합도 이재명 31%-김문수 13%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11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최종의견을 진술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2025.2.25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대통령 탄핵심판 최종(11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최종의견을 진술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2025.2.25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 대해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이 54%, ‘기각해야 한다’는 응답이 38%인 것으로 27일 나타났다. 윤 대통령이 25일 헌재 탄핵심판 최후진술에서 비상계엄에 대해 “제왕적 거대 야당의 횡포를 알리기 위한 대국민 호소”라고 주장했지만 탄핵 찬반 여론에는 즉각적인 영향이 나타나지 않은 것이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는 24∼26일 전국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례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응답률 18.8%,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탄핵 인용’(54%)과 ‘탄핵 기각’(38%)의 격차는 16%포인트로 전주와 동일했다. 또 중도층에서 ‘탄핵 인용’ 응답은 65%로 ‘탄핵 기각’(26%)보다 39%포인트 높았다.

다만 20대에선 ‘탄핵 인용’과 ‘탄핵 기각’ 응답이 각각 52%, 25%로 나타났다. 전주에는 ‘탄핵 인용’은 51%, ‘탄핵 기각’은 37%였다. 윤 대통령이 최후진술에서 “청년들이 대한민국이 처한 상황을 직시하고 주권을 되찾고 나라를 지키기 위해 나서고 있다”고 했지만 탄핵 반대에 대한 청년층 여론이 악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헌재의 탄핵심판에 대해선 52%가 ‘신뢰한다’고 답했고, 44%는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대응에 대해 ‘잘하고 있다’가 37%, ‘잘못하고 있다’가 56%로 집계됐다.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37%, 더불어민주당 34%로 집계됐다. 또 ‘정권 교체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48%, ‘정권 재창출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42%로 나타났다. ‘정권 재창출’ 응답은 해당 조사에서 대선 구도 인식을 질문하기 시작한 1월 둘째 주 이후 가장 높았다. 올해 대선이 치러진다면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민주당 후보라는 응답이 37%, 국민의힘 후보란 응답은 35%였다.

차기 대통령 적합도는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1주 전과 같은 31%,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13%였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6%, 홍준표 대구시장은 6%, 26일 책을 출간한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는 5%였다. 한편 반도체 특별법의 ‘주 52시간 근무 예외’ 조항에는 찬성 응답(56%)이 반대(30%)보다 26%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전국지표조사#헌법재판소#윤석열 대통령#탄핵심판#정당 지지율#차기 대통령 적합도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