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탄피 확보-검증에 시간 걸려”
공군 전투기의 경기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일대 오폭 사고가 군 최고 지휘부에 보고되는 데까지 30분 이상이 걸린 것으로 나타나면서 군 당국의 늑장 대응 논란이 커지고 있다.
7일 군 당국에 따르면 KF-16 전투기에서 MK-82 폭탄 8발이 포천 일대 군부대와 민가 지역 등으로 투하된 시간은 6일 오전 10시 4분이었다. 이어 소방당국은 사고 발생 1분 만에 구조 활동에 나섰다.
하지만 포천 일대 군부대의 한 장교가 정체를 알 수 없는 폭발이 일어난 사실을 인지하고 이를 사단에 보고한 시간은 오전 10시 10분. 이후 오전 10시 24분 합동참모본부에 사고 발생 사실이 전파됐지만 이때도 오폭이라는 사실이 명확하지 않았다고 한다.
특히 육해공군 작전부대의 작전을 감독하는 최고위 지휘관인 김명수 합참의장에게 보고가 이뤄진 시간은 사고 발생 36분이 지난 오전 10시 40분이었고,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이 보고받은 시간은 이보다 3분 늦은 10시 43분이었다. 군 통수권자인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사고 발생 1시간가량 지난 오전 11시 이후 김 장관 대행으로부터 첫 보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자칫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었던 사상 초유의 전투기 오폭 사고가 군 보고체계를 거쳐 군 통수권자에게 알려지는 데 1시간 이상 걸린 것이다.
군 관계자는 “당시 한미 연합훈련 중이었고 공군뿐만 아니라 육군도 사격을 하고 있어 한미 누구의 탄인지, 육군 및 공군 중 어느 군 탄인지를 탄피 등을 확보해 검증하느라 시간이 다소 걸린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군의 늑장 대응을 두고 ‘북한의 포격으로 대규모 민간 피해가 발생할 때도 군이 우왕좌왕하다 대응이 늦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군 관계자는 “북한에서 넘어오는 포나 미사일 등을 식별하는 우리 군 레이더 등의 탐지 체계와 우리 지역에서 오폭된 상황을 식별하는 체계는 차원이 완전히 다르다. 북한의 포격에 대해선 즉각 탐지해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