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유권자 공략 의료공약 경쟁
의료계 “교육시설 확대 등 뒤따라야”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공공의료 시설 확충을 핵심으로 한 지역의료 공약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지역 유권자들의 피부에 직접 와닿는 의료 공약을 내세워 표심 잡기에 나선 것. 다만 의사들을 지역 의료기관에 근무하게 할 구체적인 유인책이 담기지 않아 근본적인 해결책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지역 공약을 통해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 공공의대를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전날 공식 홈페이지에 공개한 17개 행정구역 공약에서 울산에는 ‘어린이 치료센터를 특화한 울산의료원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이는 이 후보가 경기 성남시장이던 2016년 설립된 성남시의료원과 비슷한 공공의료 모델로 지역 의료 공백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또 인천, 전북, 전남 지역에는 공공의대를 설립하겠다고 했다. 인천 지역 공약으로는 ‘공공의대 및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 검토’를 내세웠고, 전남 공약에선 ‘공공의대 설립 등 공공의료 개선’을, 전북에선 ‘공공의대 신설 추진’ 등을 약속했다. 경북 지역에는 ‘의과대학 설립 검토 및 상급종합병원 유치 지원’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도 지역의료원 설치를 핵심으로 한 지역의료 공약을 내놨다. 김 후보는 인천 지역에 ‘제2 인천의료원’ 등 공공의료 확충을 추진하기로 했다. 옛 미군기지(캠프마켓) 터에 지방의료원을 설립하겠다는 것. 또 인천이 다수의 관광객이 들어오는 국제공항 관문인 점을 고려해 영종종합병원 및 인천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유치도 추진하기로 했다.
김 후보는 또 지역공약으로 의과대학 신설과 상급종합병원 설치도 약속했다. 전남권에선 국립의과대학을 신설하고 상급종합병원도 설립해 지역의료 서비스를 개선하겠다는 계획이다. 전국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 중 국립의대가 없는 곳은 전남이 유일하단 점을 고려한 것이다. 경남에는 국립암센터 남부분원 설치에 나설 방침이다. 울산에는 영남권 특화 암치료 센터인 울산 양성자치료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제주에 상급종합병원을 지정하고 제주권역 중증외상센터 예산과 인력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또 지방 국립대병원 교수를 2027년까지 1000명 늘릴 방침이다.
의료계에선 공공의대 등 의대 신설 공약에 대해 “교육 시설 확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지방에 공공의대를 신설할 경우 교수 확충, 교육병원 설립 등 의학 교육이 가능한 시설을 갖춰야 한다”며 “기초의학교실은 현재 지방 의대도 신규 교수를 채용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고 말했다.
지역의료원 신설에 앞서 기존 지역의료원의 운영 방식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 교수는 “현재 운영 중인 공공의료원이 수십 개가 있는데 이 의료원들이 목적에 맞게 운영을 잘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했다.
김성모 기자 mo@donga.com
윤명진 기자 mjlight@donga.com
조유라 기자 jyr0101@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