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2차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이어진 물가 상승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며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9일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최근 라면 한 봉지 가격이 2000원을 넘어서는 등 급등한 생필품 가격으로 국민의 부담이 크게 늘어난 현실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물가 안정과 경제 회복을 위해 모든 수단을 총동원하겠다”며 “물가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필요하면 즉각적으로 조치를 시행할 수 있게끔 준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공직자의 1시간이 5200시간의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며, 민생과 경제 회복을 위해 온 힘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날 오전 이 대통령은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열린 2차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물가가 엄청나게 많이 올랐다던데 라면 한 개에 2000원 하는 게 진짜냐”고 물었다. 이에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1차관)이 “정치적 불확실성 때문에 맥주, 라면 등 가공식품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이 있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어쨌든 물가가 많이 올랐다”며 “(오른) 물가가 국민에 큰 고통을 주니 가능한 대책이 뭐가 있을지 챙겨서 보고해달라”고 지시했다. 또 그는 “장관들이 (현안을) 다 알기 어렵다”며 “앞으로 회의할 때 차관이나 필요하면 (담당) 과장을 대동해달라”고 말했다. 경제 현안을 실무 중심으로 세세하게 파악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73개 품목 중 52개 품목(71.2%)의 소비자물가가 12·3 비상계엄 선포 전인 지난해 11월보다 올랐다. 주요 품목별 상승률은 초콜릿 10.4%, 커피 8.2%, 빵 6.3%, 라면 4.7% 등이다. 계엄과 탄핵 사태로 인한 국정 공백기에 식품업계가 가격을 줄줄이 인상한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조류인플루엔자(AI) 등의 영향으로 달걀 한 판(특란 30개)의 평균 가격은 7000원을 넘어 약 4년 만에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민생경제 현안과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 방안 등이 논의됐다. 회의에는 대통령실 김용범 정책실장,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문진영 사회수석, 류덕현 재정기획보좌관 등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김 직무대행, 김병환 금융위원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