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
12·3 비상계엄 선포를 옹호했던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에 대한 여권 내 경질 요구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강 비서관의 과거 언행이 ‘선을 넘었다’는 지적과 함께 ‘정부의 임명 실수’라는 평가까지 나온다.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21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강 비서관 논란을 묻는 사회자 질의에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인수위가 없는 정부여서 만약 (강 비서관 임명이) 실수였다면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최고위원은 “내란에 대한 인식을 다르게 생각하는 것은 선을 넘은 것이라고 본다”며 “본인이 (거취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신정훈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통합을 책임져야 할 자리에, 국민을 갈라치고 민주주의를 모욕하는 자가 앉아 있는 건 빛과 촛불혁명, 그리고 민주공화국에 대한 모독”이라며 “즉각 파면만이 분노를 잠재울 유일한 방책”이라고 말했다.
진보정당 역시 그의 경질을 강도 높게 요구했다.
권영국 정의당 대표는 “이재명 정부 인사검증 시스템이 어딘가 심각하게 고장 나 있음을 드러내는 신호”라며 “강 비서관 경질과 민주당 인사 추천 절차, 인사검증 시스템에 대한 전면적인 재정비도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천호선 전 청와대 홍보수석은 페이스북에 “민주당·정의당은 빨갱이, 국민의힘은 중도좌파라 하는 보수도 못 되고 정치 상식도 창피한 수준”이라며 “이쯤 되면 실수가 아닌 고장”이라고 했다.
강 비서관은 올 3월 발간한 ‘야만의 민주주의’에서 12·3 비상계엄에 대해 “정부가 일을 할 수 없을 지경으로 손발을 묶는 의회 다수당의 횡포를 참을 수 없어 실행한 체계적 행동”이라고 했다.
이어 “대통령의 권한인 계엄 선포를 내란으로 몰아가는 행위는 ‘계엄=내란’이라는 프레임의 여론 선동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이재명 대통령에 대해 “대통령이 되면 강력한 공포의 전체주의적이고 독선적인 정권이 될 것 같다”고 했다.
강 비서관은 논란이 커지자 전날 입장문을 내고 “수개월간 계엄으로 고통을 겪으신 국민께 상처를 드렸다”고 사과했다.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