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도 ‘질문하는 기자’ 카메라로 비춘다…이재명표 ‘쌍방향브리핑’ 도입

  • 뉴스1
  • 입력 2025년 7월 22일 15시 24분


코멘트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실에 카메라 추가설치…김총리 검토 지시에 진행

지난 21일 통일부 정례브리핑에서 질문하는 기자를 촬영하는 모습.(e-브리핑시스템 캡처)
지난 21일 통일부 정례브리핑에서 질문하는 기자를 촬영하는 모습.(e-브리핑시스템 캡처)
정부 부처에도 대통령실에서 시행한 ‘쌍방향 브리핑’ 시스템이 도입됐다.

22일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지난 18일부터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실에서 진행되는 부처 브리핑에서 발표하는 공직자뿐만 아니라 질문하는 기자의 모습도 함께 송출하고 있다.

생중계는 정부의 온라인 브리핑 시스템인 ‘E-브리핑’을 통해 이뤄지며, 해당 영상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이트 등을 통해 볼 수 있다.

쌍방향 브리핑 시스템은 지난 6월 24일부터 대통령실에서 시작된 시스템이다. 브리핑의 투명성을 높여 국민의 알 권리를 제고하겠다는 목적을 가지고 도입됐다.

이재명 대통령 지시로 대통령실 브리핑룸에 카메라 4대가 추가로 설치돼 대통령실 인사와 기자가 질의응답하는 과정이 여과 없이 공개되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도 총리 후보자 시절 이같은 목적에 공감하고 브리핑룸에 쌍방향 브리핑 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앞서 김 총리는 후보자 지명 이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질문자에게도 국민의 시선을 개방한 대통령실 전례를 존중해 인사청문준비과정부터 총리실도 각종 언론간담회 등을 국민들이 편리하게 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총리의 지시 이후 문화체육관광부가 정부서울청사 본관 브리핑실에 카메라 4대를 추가로 설치하면서 정부 부처도 쌍방향 브리핑을 할 수 있게 됐다.

추후 개별 부처 브리핑실에도 카메라가 설치돼 쌍방향 브리핑 시스템이 도입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일각에서는 쌍방향 브리핑 시스템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국민의 알 권리 보장 측면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마음에 들지 않는 질문을 한 기자들을 향해 ‘좌표찍기’를 해 비방하는 행위가 만연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에 대통령실은 이날 이규연 홍보소통수석 명의의 입장문을 내고 “질문하는 기자에 대한 온라인상의 과도한 비방과 악성 댓글, 왜곡된 영상 편집 등의 부작용이 일부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관련 영상을 재가공해 유포할 때 명예훼손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