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8일 “정부 의지만 있다면 연합훈련 조정이 가능하다”며 이재명 대통령에게 다음 달 예정된 한미 연합군사훈련(을지 자유의 방패·UFS)의 연기나 축소를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이재명 정부를 겨냥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사진)의 첫 대남 비난 담화가 나온 지 약 9시간 만이다. 당초 다음 주 미국과 UFS 일정을 공동 발표하려 했던 군 당국은 “현재까지 한미 연합연습 시행과 관련해 변경된 사항은 없다”고 밝혔지만 UFS 조정 가능성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2025.7.25/뉴스1정 장관은 이날 서울현충원을 참배한 뒤 기자들과 만나 한미 연합훈련에 대해 “내일 국가안보회의(NSC) 실무 조정회의가 열린다”며 “여기서도 이 문제가 다뤄질 것이다. 중요하게 다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무너진 남북 간의 신뢰를 어떻게 세울 것인가, 그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우리 정부의 의지에 따라 조정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어 “분명한 것은 이재명 정부의 정책 기조는 윤석열 정부의 정책 기조와는 다르다”며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기조도 윤석열 정부를 이어받는 것이 아니다. 신중하게 하겠다”고 했다. 대북 억지력 강화를 위해 한미 연합훈련을 강화했던 윤석열 행정부와 다른 접근법을 취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정 장관의 발언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인 김 부부장이 담화문에서 한미의 UFS 강행 계획을 비난한 직후 나왔다. 김 부부장은 담화에서 “우리의 남쪽 국경 너머에서는 침략적 성격의 대규모 연합군사연습의 연속적인 강행으로 초연이 걷힐 날이 없을 것”이라며 “미한(한미)은 상투적 수법 그대로 저들이 산생시킨 조선반도 정세 악화의 책임을 우리에게 전가해 보려고 획책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의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대북전단 살포 중지’와 함께 정부가 검토 중인 개별 관광 허용 등에 대해선 “진작에 하지 말았어야 할 일”이라며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다”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 입장을 다시금 명백히 밝힌다”고 했다. 북한이 이재명 정부에 대해 직접 언급한 건 처음이다. 김 부부장의 담화 역시 올 4월 9일 대외에 ‘핵보유국’ 지위를 강조하며 ‘완전한 비핵화 불가’ 입장을 강조한 데 이어 3개월 만이다.
대통령실은 입장문을 통해 “지난 몇 년간의 적대·대결 정책으로 인해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싸울 필요가 없는 상태인 평화 정착은 이재명 정부의 확고한 철학”이라며 “정부는 적대와 전쟁 없는 한반도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일관되게 취해 나가고자 한다”고 했다.
이에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정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김 부부장의 담화문에 대한 의견을 물으며 “평화적인 분위기 안에서 남북한의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전했다. 이에 정 장관은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높은 만큼 평화 정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대답했다.
하지만 한미 관세 협상이 한창인 가운데 UFS 훈련을 보름여 앞두고 정부가 조정을 요청할 경우 미국이 반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군 소식통은 “상대(미국)가 있는데 우리가 축소한다고 축소가 되느냐”고 했고 또 다른 관계자는 “자칫 비용 문제가 얽히면 한미동맹 갈등이 생길 수 있다”며 난색을 표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