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20일 강원도 철원군 문혜리 사격장에서 열린 한미연합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계 포탄 사격 훈련에서 육군 제7포병여단 K9A1 자주포가 사격을 하고 있다. 뉴시스
국방부는 29일 다음 달로 예정된 한미 연합군사훈련(을지 자유의 방패·UFS)의 일정 조정 여부에 대해 “한미 연합연습은 한미가 합의한 절차에 따라 상호 협의 하에 진행된 사안으로, 현재까지 변경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앞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한미 연합훈련을 비난하는 담화를 발표한 직후 이재명 대통령에게 UFS 일정 연기나 축소를 건의할 생각이라고 밝혔는데, 국방부에서 계획 변동이 없다고 일축한 것이다.
이경호 국방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동맹은 굳건한 연합방위태세 유지를 위해 한미 연합연습을 연례적으로 실시해 왔다”고 강조했다.
이 부대변인은 ‘훈련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았는데 그사이에 변동사항이 발생할 수 있나’라는 질문에 “상황을 가정해 말씀드리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에서 훈련 축소 지시가 내려온다면 현실적으로 미군과 조정이 가능한가’라는 물음에는 “추후 상황을 지켜봐야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군 측과 관련 논의를 했는지 묻는 말엔 “한번 확인해 보겠다”고 답했다.
전날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조정을 이 대통령에게 건의할 생각”이라며 “8월 한미 군사합동훈련이 김 부부장의 담화에도 적시돼 있는데 그게 (이재명 정부 대북 정책의) 가늠자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같은 날 담화에서 “우리의 남쪽 국경 너머에서는 침략적 성격의 대규모 합동군사연습의 연속적인 강행으로 초연이 걷힐 날이 없을 것”이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 입장을 다시금 명백히 밝힌다”고 주장한 바 있다.
대통령실은 정 장관의 발언과 관련해 “통일부 장관뿐만 아니라 국방부 장관 등 관련 부처 의견을 들어 결정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국방부는 정부가 이달 개최를 목표로 추진하던 한미 대북 확장억제(핵우산) 협의체인 핵협의그룹(NCG) 5차 회의가 연기됐다는 보도와 관련해선 “NCG 회의가 언제 하기로 정해졌다가 지연됐다는 것에 대해 정확하게 말씀드릴 것은 없다”며 “한미는 회의를 적절한 시기에 개최하기 위해 원만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