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광복 80주년 경축사
“9·19 군사합의 복원…북측 화답 기대”
“독립운동가 모욕 행위 더이상 용납 말아야”
“셔틀외교로 일본과 미래지향적 상생협력”
“분열의 정치에서 상생의 정치 만들어갈 것”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5.08.15. 서울=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북한과의 긴장완화를 위해 단절된 대화를 복원하고 북한에 대한 일체적 적대행위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독립 투쟁의 역사를 부정하고 독립 운동가들을 모욕하는 행위는 이제 더 이상 용납하지 말아야 한다”며 “독립유공자 유족 보상 범위 더 넓히고 유공자 유해 봉환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北 체제 존중·일체 적대행위 할 뜻 없어”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2025.08.15. 서울=뉴시스
이 대통령은 15일 광복 80주년 경축사를 통해 북한에 대한 관계 개선의지를 드러내며 긴장완화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숱한 부침 속에서도 이어지던 남북대화가 지난 정부 내내 끊기고 말았다”며 “먼 미래를 말하기에 앞서 지금 당장 신뢰 회복과 대화 복원부터 시작하는 것이 순서다”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현재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분명하게 밝힌다”고 강조했다.
이어 “남북 간 우발적 충돌 방지와 군사적 신뢰 구축을 위해 9·19 군사합의를 선제적, 단계적으로 복원해 나갈 것”이라며 “남북 주민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교류 협력 기반 회복과 공동성장 여건 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일본과 셔틀외교를 복원하고 실리 외교를 원칙으로 협력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도 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양국이 신뢰를 기반으로 미래를 위해 협력할 때 초격차 인공지능 시대의 도전도 능히 헤쳐 갈 수 있을 것”이라며 “국익중심 실용외교의 원칙으로 셔틀외교를 통해 자주 만나고 솔직히 대화하면서 일본과 미래지향적인 상생협력의 길을 모색할 것”이라고 했다.
●“연대와 상생의 정치 만들 것”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고(故) 이은숙 선생의 외손자 김종민 씨에게 건국훈장 애족장 훈장증을 전달하고 있다. 2025.08.15. 서울=뉴시스
이 대통령은 이날 독립 투쟁과 독립 운동가에 대한 지원 정책 강화도 예고했다.
그는 “모두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외면한다면 또 다른 위기가 닥쳤을 때 과연 누가 공동체를 위해 나서겠느냐”며 “미서훈 독립유공자를 찾아내 모두가 합당한 예우를 받을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축사에서 한국사회에 오래 누적된 이념 갈등과 정치 분열을 넘는 ‘통합’에 대한 의지도 내비쳤다.
이 대통령은 “증오와 혐오, 대립과 대결로는 아무것도 해결할 수 없고, 국민의 삶과 민주주의를 심각하게 위협할 뿐이라는 것이 지난 80년간 우리가 얻은 뼈저린 교훈”이라며 “포용과 통합, 연대의 밝은 에너지로 바꿀 때 우리 사회는 더 나은 미래로 더 크게 도약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치가 사익이 아닌 공익 추구의 기능을 회복하고 국민이 정치를 걱정하는 비정상적 상황을 끝낼 때 우리 안에 자리 잡은 갈등과 혐오의 장벽도 사라질 것”이라며 “낡은 이념과 진영에 기초한 분열의 정치에서 탈피해 대화와 양보에 기초한 연대와 상생의 정치를 함께 만들어갈 것”이라고 했다.
이하 이재명 대통령 광복 80주년 경축사 전문
존경하는 5200만 국민 여러분, 700만 재외동포 여러분, 그리고 독립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
80년 전 오늘, 우리는 빼앗겼던 빛을 되찾았습니다. 삼천리 방방곡곡을 감격으로 환하게 밝힌 그 빛은 거저 얻어진 것이 아니었습니다. 해방에 대한 불굴의 의지, 주권회복의 강렬한 열망으로 스스로를 불사른 수많은 이들의 희생과 헌신으로 일궈낸 것이었습니다.
광복절은 단지 독립을 이룬 날이 아닙니다. 우리 손으로 우리의 미래를 정하고, 우리의 삶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와 권리를 되찾은 날입니다.
지난 80년 동안 대한민국은 눈부신 성취를 이뤘습니다.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가운데 유일하게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이뤄냈고, 군사력 5위, 경제력 10위권 선진 민주국가로 우뚝 섰습니다.
존경하는 김구 선생이 염원했던 문화강국의 꿈도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인이 우리말로 노래 부르고, 영화, 드라마, 만화, 문학 등 우리가 만든 콘텐츠를 즐기고 있습니다.
다시는 빼앗기지 않을 부강한 나라를 만들겠다는 독립투사들과 애국선열들의 열정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음수사원(飮水思源), 물을 마실 때 그 물의 기원을 생각한다는 말처럼, 대한민국의 오늘을 만든 선열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리는 것은 자유와 풍요를 누리는 우리가 해야 할 응당한 책임입니다.
자랑스러운 항일투쟁의 역사를 기리고, 독립유공자의 명예를 지키는 것은 우리 공동체의 과거와 오늘, 그리고 미래를 지키는 길입니다.
독립투쟁의 역사를 부정하고 독립운동가들을 모욕하는 행위는 이제 더 이상 용납하지 되어선 안 될 것입니다.
모두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외면한다면 또 다른 위기가 닥쳤을 때 과연 누가 공동체를 위해 앞서 나서겠습니까?
공동체를 위해 특별한 희생을 치르신 분들에 대하여 예우하고 존경하는 마음이 커지면 커질수록 우리 공동체도 더욱 튼튼해질 것입니다.
우리 정부는 독립투쟁의 역사를 제대로 기억하고, 그리고 기록하고 국민과 함께 기억하겠습니다.
생존 애국지사분들께 각별한 예우를 다하고, 독립유공자 유족의 보상 범위도 더 넓히겠습니다. 해외 독립유공자 유해봉환을 더욱 적극 추진하고, 서훈을 받지 못한 미서훈 독립유공자들을 찾아내어 모두가 합당한 예우를 받을 수 있게 하겠습니다.
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우리의 굴곡진 역사는 ‘빛의 혁명’에 이르는 지난한 과정이었습니다. 빼앗긴 빛을 되찾고, 그 빛을 지키기 위한 투쟁의 연속이었습니다.
3.1혁명의 위대한 정신이 임시정부로 이어졌고 한반도 삼천리 방방곡곡을 넘어, 온 세계에서 독립투쟁의 불길로 번지며 마침내 우리는 다시 빛을 찾았습니다.
분단과 전쟁의 캄캄한 절망 속에서도 우리 국민은 희망을 놓지 않았고, 독재의 엄혹한 추위 속에서도 소중한 빛을 지켜내왔습니다
4.19혁명과 5.18 민주화운동, 6.10 민주항쟁으로 민주화의 빛을 환하게 밝혔고, 세계사에 없는 두 번의 무혈 평화혁명으로 이 땅이 국민주권이 살아있는 민주공화국임을 만천하에 선언하였던 것입니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까지 이어진 ‘빛의 혁명’은 일찍이 타고르가 노래한 ‘동방의 등불’이 오색 찬란한 응원봉 불빛으로 빛나는 감격의 순간이었습니다.
어둠이 있기에 빛의 소중함을 알았고, 빛이 있기에 어둠에 맞설 용기를 낼 수 있었습니다.
광복으로 찾은 빛을 다시는 빼앗기지 않도록, 독재와 내란으로부터 지켜낸 빛이 다시는 꺼지지 않도록, 우리 모두가 함께 지켜냅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