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총리, 정부 지지율 하락세에 “성과로 답하도록 전력 다할 것”

  • 뉴스1

코멘트
김민석 국무총리가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8.19/뉴스1
김민석 국무총리가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8.19/뉴스1
김민석 국무총리는 19일 이재명 대통령과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이는 것에 대해 “이 정부에 대한 최종평가는 임기가 끝나는 날 어떻게 국민의 삶이 나아졌는가를 중심으로 국민 평가를 받는다고 말한 대통령 말처럼, 저희도 그런 관점에서 보고 있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통해 “국민은 국민주권정부에 내란을 극복하고, 중도실용의 관점에서 민생과 경제를 살리라는 두 가지 명확한 요구를 줬고, 그게 정부가 시작할 때 받은 절대과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총리는 “그걸 일관되게 실행하는 것 외에 다른 왕도는 없다”며 “저희는 성과로 답하고 성과로 국민에게 말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디테일도 중요하겠지만, 큰틀에서 국가가 가야 할 방향에 대한 문제의식을 놓지 않고 대통령에게 말해야 할 것을 늘 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결국 우리가 바라는 건 계엄을 극복하고 당당한 문화 선진국으로 우뚝 서는 그날”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가 행하는 여러 가지 개혁 과제들로 그런 기틀을 닦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김 총리는 최근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해 “북이 여러 측면에서 평가하는 훈련도 하고, 평화를 만들기 위한 메시지도 내고 있다”며 “우리도, 상대도 복합적 메시지를 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어떻게 남북관계에서 하나의 단일한 메시지만 내겠나”라며 “(지금까지) 그래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안보를 단단히 챙기면서 평화를 조성할 수 있는 메시지를 내고 있다고 이해해 달라”고 밝혔다.

아울러 김 총리는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차별금지법 제정 필요성을 언급한 것에 대해 “제 개인적으로나 대선 시기 대통령이 밝혔던 입장, 또는 정부나 민주당에서 대략의 기조로 잡고 있는 ‘사회적 대화를 통해 이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는 건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앞으로의 한미 관계에 대한 질문에 김 총리는 “이제 한국은 미국의 ‘리틀 브라더’(동생)이 아니라 ‘파트너’로, 그 점을 당당하게 설명하는 게 좋다는 이야기를 미국 분께 들었다”며 “이번 ‘마스가(MASGA) 프로젝트’(한미 조선협력 프로젝트)가 앞으로 한미관계에 있어 과거와는 다른 모델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한국이 결정적 역할을 할 수 있는 하나의 대목을 협력의 소재로 찾은 것으로, 앞으론 그런 영역이 더 많아질 것”이라며 “동맹현대화에 관한 주제에서도 기본적으로 우린 이미 세계 5위의 군사강국이고, 궁극적으로는 우리 안보와 평화를 스스로 지켜야 한다는 절대적 명제가 있는데, 그 양자를 조화해 풀어가면 된다”고 밝혔다.

또한 김 총리는 오는 21일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이자 게이츠재단 이사장인 빌 게이츠가 방한했을 때 만남을 갖는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빌 게이츠 회장이 국제 보건에서도 중요한 지분이 있고, 여러 가지 국제 이슈들에 대해 상당히 선두적인 역할이 있다”며 “그런 논의를 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 대통령에게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조선해양 협력 문제가 중요하다는 점을 전하거나, 인공지능(AI) 인재 문제를 두고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면서 “시중에서 들은 얘기 중 국가 전략적으로 의미 있겠다고 생각된 것들을 큰 흐름에서 전달하는 게 총리의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