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앞두고 20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미국 상원의원 앤디 킴 인터뷰.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한국계 첫 미국 상원의원인 앤디 김 의원(43·민주·뉴저지)이 “미국의 조선업 역량은 현재 부족하지만 한국과의 협력을 통해 빠르게 보완할 수 있다”며 “한미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미국의 조선업) 규제 개혁과 투자를 위한 노력은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20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간담회를 갖고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조선업 강화 노력을 입법과 자원 지원으로 강력히 뒷받침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이번 정상회담은 한미 관계와 경제 안보를 재확인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정상회담을 통해 협력 목표가 구체화되고 이에 기반한 입법 및 정책 추진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의원은 태미 덕워스 미 상원의원과 함께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의회 차원의 양국간 조선업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18일부터 방한했다.
김 의원은 전날(19일) 조선업계 간담회에서 제기된 미국의 규제 완화 요청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했다. ‘실제로 어떤 규제들을 손봐야 하는지’를 묻자 그는 “지금은 미국이 필요한 선박 수 목표치와 어떤 분야에 필요한지를 명확히 하는 게 우선”이라며 “투자와 관련해선 한국이 내놓을 투자계획과 이들이 어떤 역할을 하고 전략은 무엇인지 장애물은 무엇인지 분명하게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내 조선업 지원 입법이 더디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김 의원은 “진전이 가능한 부분부터 진행 중”이라면서 “일단 정상회담 결과와 투자 계획이 확실해져야 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정상회담 결과를 보고 나서 의회가 즉시 필요한 조치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조선 협력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에 대한 중국의 반발에 대해 김 의원은 “중국의 경고는 오히려 한미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해주는 것”이라며 “우리의 안보와 경제 안보를 위한 조치는 중국의 허락을 받지 않고도 강력히 추진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이 방미 전 일본을 먼저 방문해 정상회담을 하겠다는 결정은 매우 전략적이고 탁월하다“며 한미일 3자 협력에 강한 지지를 표명했다. 그는 “3자 협력이 지역 안보와 경제 협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3자 정상회담 추진과 국회 차원의 협력 프로세스 강화를 포함해 동아시아 지역 협력 강화에 적극 나설 예정”이라고도 밝혔다.
또 주한미군과 관련해 “미군 감축이나 주둔 규모 변경은 한국과의 긴밀한 협의와 투명한 소통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에 미군이 주둔하는 것에 대해선 강력한 초당적 지지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며 “70년 전 합의한 확장 억제를 제공하고 한반도 안보를 보장해야 한다. 이런 점을 트럼프 행정부에 강력히 전달했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