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미우리 신문 인터뷰서 밝혀
“국가 신뢰와 유족 입장 두 가지 고려
양국이 인간적 관점서 논의 진행해야”
이재명 대통령이 17일(현지 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2025.06.18. [카나나스키스(캐나다)=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은 위안부 및 강제징용 노동자 관련 문제에 대해 과거 정권이 일본과 맺은 합의에 관해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답습할 뜻을 밝혔다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21일 전했다.
23일 일본 방문을 앞둔 이 대통령은 1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집무실에서 약 1시간 반 동안 노가와 쇼이치 요미우리신문 대표와 인터뷰를 가졌다.
이 대통령은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 “매우 중요한 존재”라며 “한국도 일본에 있어서 유익한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양쪽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길을 발굴해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넓혀가야 한다”고 말했다. 위안부 및 강제징용 노동자 문제와 관련해서는 “가급적 현실을 인정하고 서로 이해하려고 노력해 대립적으로 되지 않도록 하면서 해결해 가는 게 좋다”고 밝혔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위안부 및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와 관련해 박근혜 전 대통령,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일본과 합의한 내용에 대해 “우리 국민으로서는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지난 정부의 합의이기는 하지만 국가적 약속이기 때문에 번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정책의 일관성과 국가의 대외 신뢰를 생각하면서도 국민과 피해자와 유족의 입장도 진지하게 고려하는 두 가지 책임을 동시에 지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일 양국이 장기적이고 보다 인간적인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할 것을 제안하고, 한국 국민의 감정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는 인식을 이 대통령이 드러냈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어떤 면에서 협력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라며 경제, 안보, 인적 교류 분야에서 협력 확대를 논의할 뜻을 내비쳤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이어 이 대통령이 신뢰를 쌓기 위해 한일 정상이 자주 상호 방문하는 ‘셔틀외교’의 유용성도 강조했다고 전했다.
1998년 10월 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小渕恵三) 일본 총리가 발표한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에 대해 이 대통령은 한일관계에 새로운 획을 그은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이 대통령은 “이 선언을 이어받아 이를 뛰어넘는 새로운 공동선언을 발표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고 요미우리는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