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23일(현지 시간) 일본 도쿄 총리 관저에서 한일 소인수 정상회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8.24. 사진공동취재단
북한이 25일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워싱턴의 오해를 덜어보려는 서울의 불안심리가 빚어낸 하나의 외교 촌극”이라고 비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5일 ‘3각 군사 공조 실현의 척후로 나선 서울 위정자의 추태’라는 김혁남 개인 명의 논평에서 “한국 집권자가 (한일 정상회담에서) ‘흔들림 없는 한일, 한미일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한일관계 발전이 한미일 협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만들어가기로 했다’면서 곧 만나게 될 백악관 주인을 향한 구애의 메시지를 잊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울 위정자와 한국 집권자는 이재명 대통령을 뜻한다.
김혁남은 “이재명이 야당 대표 시절 민심 유혹을 위해 내뱉군 하던 ‘대일 강경’ 발언으로 얻어쓴 ‘반일’ 감투 때문에 집권 이후 일본 내부의 싸늘한 시선은 물론 미국의 냉대와 압박을 받아온 것은 잘 알려져 있다”며 “미국의 대외 전략 실행의 핵심 수단인 미일한 3각 군사동맹의 한축으로 되는 한일관계를 고도로 중시한다는 확고한 자세를 보여줘 상전의 의심을 해소하고 백악관 나들이 때 있을 수 있는 외교 참사도 피해볼 작정으로 급기야 자발적인 친일 검증 행각길에 오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혁남은 “문제는 앞으로 친일 신조를 행동적으로 증명하려는 이 서울 위정자의 과잉 욕구가 지역의 안보 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것이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일 사이의 협력 강화로 침략적인 미일한 3각 군사동맹의 구조와 기능이 더욱 제고될 것이며 그로 하여 조선반도와 동북아시아 지역 정세에 엄중한 영향이 미치게 되리라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김혁남은 “현실은 미국 상전의 눈에 들기 위해 침략적인 미일한 3각 군사공조 실현의 척후로 나서 조선반도와 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거래 흥정물로 내들고 있는 한국 집권자의 추악한 대결 정체를 적라라하게 조명하고 있다”며 “우리는 패권지향적인 미국과 그 추종자들에 의해 벌어지고 있는 우려스러운 사태를 절대로 수수방관하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