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15차 소비자정책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9.02. 서울=뉴시스
정부가 부모 부재 중 발생한 화재로 아동이 숨지는 사건을 막기 위해 화재 취약가정 약 150만 세대에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보급하기로 했다. 또 노후 공동주택 밀집 지역 내 초등학교 3000여 곳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방과 후 마을돌봄시설 350곳을 야간까지 연장 운영할 계획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제3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이러한 내용의 안전·민생·생활 분야 개선 정책을 논의했다.
이번 대책은 지난 6, 7월 부산에서 아동 4명이 잇달아 화재로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마련됐다. 정부는 주거 공간에서 생명이 위협받는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재발방지 종합대책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화재 취약가정 약 150만 세대에 단독경보형 감지기 보급 △노후 공동주택 밀집 지역 내 초등학교 3000여곳에서 안전교육 실시 △방과 후 마을돌봄시설 350곳 야간까지 연장 운영 등을 추진한다.
정부는 또 지난 7월 발생한 광명 주차장 화재 사고와 관련한 후속 대책도 내놨다. 화재에 취약한 필로티 공동주택 3만 동에 아크차단기 등 초기 대응 장비를 보급하고, 건축물 성능확인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는 근력강화 슈트 등 검증된 첨단 국방기술을 소방 현장에 적용하고, 내년 소방 R&D 예산도 전년 대비 64.9% 늘린 503억 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민생 대책도 마련됐다. 정부는 최근 외식 물가의 급격한 상승으로 직장인들의 식비 부담이 가중된 데 따라 내년부터 3년간 ‘직장인 든든한 한 끼’ 사업을 시범 운영해 중소기업 근로자의 점심 외식 비용의 20%를 월 최대 4만 원까지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산단 근로자까지 확대한다고도 밝혔다.
김 총리는 “정책의 결과를 국민께서 피부로 체감할 수 있어야만 진정한 성과”라며 “오늘 논의가 단순 정책 수립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실질적 변화를 이끌 수 있도록 해달라“고 관계부처에 당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