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日사도광산 추도식 불참 결정…“추도사 내용 이견”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4일 15시 12분


코멘트

‘한인 노동자-유족 위로’ 협의 결렬
작년부터 2년 연속 ‘반쪽 추도식’으로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차관급) 및 참석자들이 추모 묵념을 하는 가운데 한국 정부 관계자 및 유가족의 자리가 비어 있다. 2024.11.24 뉴스1
24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아이카와 개발종합센터에서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서 이쿠이나 아키코 외무성 정무관(차관급) 및 참석자들이 추모 묵념을 하는 가운데 한국 정부 관계자 및 유가족의 자리가 비어 있다. 2024.11.24 뉴스1
정부는 일본이 주관하는 일제강점기 사도광산 한국인 강제노역 피해자 추도식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불참하기로 결정했다고 4일 밝혔다. 2년 연속 우리 정부 및 유족 참여 없이 ‘반쪽짜리’ 행사로 파행된 것이다. 추도사 내용 중 ‘강제 노역’이라는 표현에 이견이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오후 기자들과 만나 “양국 간 진지한 협의가 진행됐으나 결과적으로 핵심 쟁점에 대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고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이르게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남은 기간을 감안할 때 추도식 이전까지 만족할 만한 접점을 찾고 참석 준비 기간을 확보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고도 했다. 일본은 13일 오후 니카타현 사도시에서 추도식을 개최할 예정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부는 같은 날 오전 일본 측에 불참 의사를 통보한 상태다.

정부는 추도사 내용을 두고 일본 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 정부는 사도광산 노동자에 대한 합당한 애도가 있으려면 그 고난의 근원과 성격이 무엇이었는지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고 봤다”며 “그러나 추도사 내용 중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 표현에 대해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일본은 지난해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한국인 노동자 강제 동원의 역사를 알리는 전시물을 설치하고 피해자 추도식을 매년 열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이후 공개한 관련 전시물에 ‘강제 동원’이라는 표현은 빠졌다. 또 행사 첫 회인 지난해 추도식에 일본은 야스쿠니신사 참배 이력이 있는 인사를 참석 명단에 올렸다. 결국 우리 측은 추도식 하루 전에 불참을 결정했고 사도광산 인근의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별도의 추도식을 열었다. 정부와 유가족 등은 올해도 자체 추도식을 열 예정이다. 이 관계자는 “유가족들도 대체로 이해해 주셨다”고 전했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