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내년 초에 개최될 예정인 제9차 당대회에서 핵 무력과 상용 무력(재래식 무기)의 병진 정책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13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지난 11일과 12일 국방과학원 장갑방어무기연구소와 전자무기연구소의 사업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이 매체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전자무기연구소를 방문한 자리에서 “앞으로 제9차 당대회는 국방 건설 분야에서 핵 무력과 상용 무력 병진 정책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며 “국방과학원이 당의 강군 건설 노선을 높이 받들고 상용 무력을 현대화하기 위한 사업에서 계속 기치(를 들고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과거 ‘핵 개발’에 전념했던 군사 노선을 재래식 무기도 병행 개발하는 방식으로 바꾸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현재 북한이 남한에 비해 큰 격차로 열세인 재래식 무기 개발에 속도를 낼 경우 남북 관계에 새로운 긴장과 위협이 조성될 가능성도 있다.
김 위원장은 장갑방어무기연구소와 탱크설계국의 합동 연구로 완성된 ‘중요 핵심 기술개발정형’을 청취하고 △특수복합장갑 개발 실태 △최종 도입 전 시험 공정에 있는 지능형 능동방호종합체의 반응 시험 △효과적인 상부 공격 방어구조물의 설계 방안 등 장갑 방어 부문의 연구사업실태를 점검했다.
그는 지향성 적외선 및 전파교란장비와 능동방호종합체, 피동 방호 수단이 성과적으로 개발·도입됐다면서 “장갑 무력의 전투력은 비상히 강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각종 반탱크미사일 실탄 사격에 의한 정면·측면·상부 공격에 대응하는 신형 능동방호체계의 종합가동시험도 이뤄졌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시험으로 “탐지 체계와 회전식 요격탄 발사기들의 반응성이 대단히 높으며 새로 개발된 능동방호체계가 매우 우월하다는 것이 검증됐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12일 평양지구 제38훈련기지에서 수도경비사령부 관하 저격수 구분대와 중앙안전기관 특별기동대 저격수 구분대 간 사격 경기를 참관하기도 했다.
그는 인민군 총참모장에게 저격수 역량 양성 규모와 저격수 편제 방안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대책을 강구할 것을 지시했다. 이어 저격수의 활동 영역을 넓히는 것이 군대의 군사활동 전반에 주는 영향을 언급하며 “전문 저격수 역량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그 활동을 적극화해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저격수의 종합훈련기지와 훈련방법 및 교육체계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한 이후 저격수 구분대 또는 특수부대 등을 방문하면서 재래식 무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