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이 19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SPCC라운지에서 열린 외신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9.19/뉴스1
조현 외교부 장관이 조지아주 우리 근로자 구금 사태와 관련해 “(비자 문제 해결이) 한국의 대미 투자 선결 조건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아주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1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SPCC라운지에서 열린 외신기자간담회에서 “루비오 (미국 국무) 장관으로부터 (한국 근로자의 미국) 재입국에 아무 문제 없단 확약을 받은 바 있다”며 “재입국에는 문제가 없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일을 해야하는 근로자들 입장에서 B1비자로, 혹은 ESTA 비자로 각각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최종적인 답변은 미국 정부가 내려야 한다”고 대답했다. 이어 “당장 한국에서 미국으로 가야하는 인력에 대해선 그때그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합의해서 문제없도록 해결할 계획”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새 비자 카테고리를 만든다든지, 주한미국대사관에서 기업인 비자 특별 데스크를 만든다든지 등을 (한미) 워킹 그룹을 통해 신속하게 협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우리 근로자가 구금 중 인종차별 등을 당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미국 뉴욕타임스(NYT) 기자는 “외교부가 조사한 내용이 있나”, “한국이 미국에 약속한 3500억 달러 투자 진행에 차질이 있나” 등을 물었다.
이에 조 장관은 “한국 정부가 한국인의 인권에 대해 관심 갖고 조사해야한다. 어떤 침해가 있었는지 조사를 막 시작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것이 한국의 대미 투자의 선결조건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아주 중요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미국 AP통신 역시 근로자 인권 침해에 대해 물었고 조 장관은 “한국 국민을 보호하고 권익 침해 있을 때 한국 정부가 조사하는 건 정부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언론에 일부 소개된 것들은 (미국의) 공권력 남용이 지나쳤다는 것들 등이 있지만 어디까지나 미국의 국내법 집행 과정에서 일어났기 때문에 그렇게 이해하고 접근하고 있다”고 했다.
조 장관은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해 “25% 관세, 특히 자동차 관세는 한국 기업이 그런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신속히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국민에 부담을 지우는 내용은 국회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며 “미국 측에 잘 설명하고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내야 하기 때문에 협상이 지연되고 있을 뿐”이라고 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 여부와 한중 관계 개선에 대해 조 장관은 “시 주석은 이번 APEC에 아마 참석할 것”이라며 “다만 중국 측에서 발표할 사안”이라고 했다.
한일 관계에 대해 조 장관은 “지난 2017년 문재인 정부의 차관으로 있을 당시 위안부 합의가 잘못됐다고 비판했던 적 있다”면서 “이후 강제 징용 문제가 한일 관계의 큰 불안정 요소로 되는 데 대해서 매우 안타깝게 생각했고, 그때 정부 안에서 개인적으로 다른 의견을 내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에서 제3자 변제라는 방식이 나왔고, 그건 문재인 정부에서 제가 제안했던 것보다 한국 측에서는 조금 더 수용하기 어려운 방식이었다”며 “그러나 이번에 이재명 정부는 일단 찬성하지 않더라도 지난 정부가 합의했거나 발표한 정책을 지켜나간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일본 정부가 ‘구체적으로 뭘 해라, 하기를 바란다’ 이런 것은 없다. 그건 일본 정부가 고민해서 한일 관계 발전을 위해서 가지고 나와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일본 요미우리신문 기자는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제한조치 해제에 관해 물었다. 조 장관은 “일본 특정 지역으로부터의 수산물 수입 제한은 한국민의 우려가 해소되기 전에는 한국 정부가 제한을 풀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고 답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