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이 국회 산자위 산업통상자원특허 소위원장이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제1차 산업통상자원특허 소위원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4.08 뉴시스
최근 발생한 전기화재는 3건 중 1건 꼴로 ‘미확인단락’으로 인한 원인미상 화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확인단락은 전기적 요인으로 화재가 일어났지만 뚜렷한 원인을 특정 못 하는 경우를 말한다.
2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제출받은 ‘미확인단락 전기화재 현황’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6월까지 미확인단락으로 발생한 전기화재는 1만5297건으로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1364명, 재산피해는 4740억원에 달했다.
미확인단락 전기화재는 2020년 전체 전기화재 8170건 중 2294건으로 28.1%를 차지했는데 이후 지속적으로 비중이 늘고 있다. 2021년 8241건 중 2415건(29.3%), 2022년 8802건 중 2919건(33.2%), 2023년 8871건 중 3020건(34.0%), 2024년 8634건 중 3034건(35.1%)에 이어 올해 들어서는 6월 기준 전체 전기화제 4401건 중 1615건이 미확인단락 전기화재로 38.4%에 육박했다.
미확인단락 재산피해는 2020년 470억원에서 지난해 1154억 원으로 2.4배 증가했으며 올해의 경우 6월말까지 517억 원의 재산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미확인단락 화재 인명피해도 2020년 379명 중 218명인 57.5%에서 지난해 372명 중 278명인 74.7%로 약 20%포인트 증가했다. 미확인단락 전기화재로 인한 사망자수는 2020년 25명에서 지난해 31명으로, 부상자수는 2020년 193명에서 247명으로 증가했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미확인단락 전기화재 증가 사유로 산업고도화와 주거환경의 변화로 인해 대형 및 고층건물이 늘어나면서 화재 발생 시 진화 활동이 어려워졌으며 진화 과정에서 현장이 전소되거나 훼손되면서 단락 흔적의 원인을 분류하는 데 한계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최근 전기화재 10건 중 3건 이상이 ‘원인 미상’ 단락으로 인한 것으로 피해 규모도 해마다 커지고 있다”며 “AI(인공지능) 분석 기술과 사고조사 체계를 정비해 화재가 난 뒤 수습하는 방식이 아니라 미리 찾아 막는 ‘사전예방형 전기안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