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외신에 “韓 근로자들 안전 보장해야
통화스와프 없인 韓 경제 충격” 밝혀
총리실 “투자유보 아냐… 협상과 무관”
김민석 국무총리가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9.24/뉴스1
김민석 국무총리가 25일 공개된 외신 인터뷰에서 “한국인들의 미국 내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의 미국 내 투자 프로젝트가 불확실한 상태에 머무를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구금사태로 불거진 미국 비자 문제가 대미 투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다만 국무총리실은 3500억 달러(약 486조 원) 대미 투자 펀드와 관련한 한미 관세협상과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김 총리는 전날(24일) 진행한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안전에 대한 확실한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근로자들과 가족들이 미국 입국을 꺼리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대미 투자에) 의미 있는 진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했다.
김 총리는 또 인터뷰에서 한미 통화스와프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3500억 달러가 한국 외환보유액의 70∼80%에 달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통화스와프 없이는) 한국 경제에 지나치게 큰 충격을 줄 수 있다”며 “외환위기를 겪었던 나라로서 국민적 경계심도 높다. 이러한 요소들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김 총리 인터뷰 기사에서 7월 한미 관세협상에 따라 한국 정부가 미국에 약속한 3500억 달러 대미 투자에도 비자 문제가 먹구름을 드리웠다고 보도했다. 정부가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대미 투자를 유보하겠다는 것으로 비치면서 논란이 되자 국무총리실은 보도자료를 내고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한국 근로자들이 미국 입국을 꺼리는 상황을 설명한 것일 뿐 투자를 유보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한미 간 논의되고 있는 3500억 달러 투자와는 무관한 내용”이라고 해명했다.
댓글 0